[굿 잡 굿 뉴스] 직장인의 고민 `사직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4 11:57
본문
Download : 091126054325_.jpg
많은 직장인이 여러 가지 이유를 두고 퇴사를 고민한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남녀 직장인 1230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중 ‘사표를 던지고 싶게 만드는 요인’에 대해 물은 결과, 가장 많은 33.7%의 직장인이 ‘회사 내에서 나의 future 가 불투명할 때’를 꼽았다.
◇자신의 평판을 꾸준히 관리하라=퇴사를 하더라도 마지막까지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회사를 그만두기로 결심했다면 향후 할일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굿 잡 굿 뉴스] 직장인의 고민 `사직서`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번쯤 사표를 쓰고 싶을 때가 있게 마련이지만 사표를 던진 후 자신의 모습은 바로 현실”이라며 “구체적인 준비 없이 일시적인 감정으로 사표를 던져 후회하거나 경력관리에 오점이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남성 직장인들은 가족을 생각하면 사표를 쓰고 싶다가도 꾹 참게 된다(37.3%)는 응답이 가장 많은 반면에 여성은 ‘월급날’(39.9%)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직장인들은 왜 이 같은 고민에 빠지게 될까.
이와 함께 △나의 업무 능력이 무시당할 때(15.4%) △쥐꼬리만 한 월급(14.1%) △상사의 끊임없는 참견과 잔소리(12.8%)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무한 반복되는 야근(10.0%) △매일같이 반복되는 지루한 업무(7.2%) △나보다 잘나가는 입사 동기(2.6%) △지옥 같은 출근길 전쟁(2.2%) 등이 뒤를 이었다.
[굿 잡 굿 뉴스] 직장인의 고민 `사직서`
◇먼저 퇴직 후 준비를 하라=일자리를 어느 정도 알아봐 두고 사표를 내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직장인이 사표를 품고 있다가도 참게 되는 순간은 언제일까. 역시 월급날(29.6%)이 가장 많았고 ‘처자식 등 가족이 생각날 때’도 비중 있게(24.4%) 나타났다.
또 팀장급 직장인들은 회사 내 불투명한 자신의 future 를 선택한 비율이 40.5%로 다른 팀원급 응답자에 비해 9.9%포인트나 높은 반면에 팀원급 직장인은 자신의 쥐꼬리만 한 연봉을 선택한 비율이 8.2%포인트가량 많았다. 더구나 이직이 확정된 상태가 아니라면 더더욱 그렇다.
◇마지막 순간까지 기밀유지=자신이 사표를 쓸 것이라는 사실을 소문내는 사람은 경솔함 그 자체다. 특히 퇴직금은 어떤 달에 그만두는지에 따라 차이가 나는 事例도 있으니 근무 중인 회사의 퇴직금 정책도 미리 파악해둘 필요가 있다아
설명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월급날(41.7%)을 압도적으로 꼽았고 40·50대는 절반 이상이 가족 생각 때문에 사표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금의 회사를 그만두고 어느 정도 쉬다가 다른 일자리를 구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하지만 쉽지만은 않은 이 결정은 상당한 ‘번뇌(?)’로도 이어진다. 이직에 혹 차질이 생겼을 때를 대비해 마지막까지 조용히 준비해야 한다. 이 밖에 △카드명세서 받는 날(13.3%) △고용한파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볼 때(12.0%) △주위 백수 친구들을 볼 때(11.3%) △대출이자 갚는 날(5.7%) 등이 퇴사를 향한 마음을 붙들어 세웠다. 사표를 쓰기 전 자신의 경력을 체크해보자.
특히 남성 직장인들은 여성에 비해 불투명한 자신의 future 를 선택한 事例가 11.3%포인트나 높았고 여성 직장인은 상대적으로 매일같이 반복되는 지루한 업무를 더 많이(5.7%포인트) 꼽았다.
◇가능하면 비자도 만들자=직장을 그만두고 개인이 되면 비자 발급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아 따라서 퇴사에 앞서 적극적으로 비자를 받아 두는 것이 좋다.
순서
[굿 잡 굿 뉴스] 직장인의 고민 `사직서`
[굿 잡 굿 뉴스] 직장인의 고민 `사직서`
다. 특히 경력직 채용 시 이전 직장에 전화해 업무 태도나 성향·평판 등을 조회하는 이른바 ‘레퍼리 체크(referee check)’를 하는 회사도 많다. ◇퇴직금도 미리 알아둬야=1년 이상 근무하면 회사에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아 따라서 자신의 직장 경력이 1년을 앞뒀다면 조금만 더 일하면서 퇴직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Download : 091126054325_.jpg( 78 )
◆사표 내기 전 이것만은 꼭!
레포트 > 기타
◇경력 점검은 필수=자기 분야에서 최소한 3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야 유리한 조건에 이직할 수 있다아 어중간한 경력자는 경쟁력을 인정받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