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진태의 한국사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1 10:51
본문
Download : 손진태의 한국사학.pptx
”
⇒ 日本 의 학풍에 맹종하였던 과거의 ‘도락으로서의 학문’을 배격하면서, 그에 대치될 수 있는 학문 추구
_SLIDE_6_
Ⅱ. 민속학에서 한국사학으로 전환
“학문은 오로지 우리들이 현재 부닥쳐 몸부림치는 현실문제를 여하히 해결하여 우리의 생활을 건설하고 또 장래를 건설하느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우리는 규정하였다…(투비컨티뉴드 )
다. 동학 수우로 더불어 때때로 밀회하여 이에 대한 theory 을 토의하고 체계를 구상하였다” ...
_SLIDE_1_
손진태(孫晋泰)
_SLIDE_2_
Ⅰ. 생애
1900. 12.28 ~ 1950()
본관 : 밀양 / 아호 : 남창
1932 조선민속학회 창설
1933 ``조선민속`` 창간
1934.05.07 진단학회 창설
1933 귀국 후 강사활동
8.15 (광복) 이후 서울대학교 교수 등 중직역임
한국전쟁 때 납북
_SLIDE_3_
Ⅰ. 생애-학문적 생애
민족항쟁기 - 민속학자
광복 후 역싸학자
일제시대 역싸학 연구X
현실정치를 초월하여 일반 민중의 culture가 가지는 보편성 인식
민속학 저작
민족이 살아나갈 길을 명시하는 학문 추구
신민족주의사관
역싸학 저작
_SLIDE_4_
Ⅱ. 민속학에서 한국사학으로 전환
1930년대 말 연구에 대하여
“내가 신민족주의 조선사의 저술을 기도한 것은 소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던 시대부터이었다. 동학 수우로 더불어 때때로 밀회하여 이에 대한 theory 을 토의하고 체계를 구상하였다”
⇒ 학문 전환의 생각
_SLIDE_5_
Ⅱ. 민속학에서 한국사학으로 전환
신민족주의 theory 토의 체계 구상
⇒ (조윤제의 회고)
“우리는 여기에 과거의 우리 학문은 목적 없는 문자의 희롱이요 사관 없는 학문의 도락이라 규정하고 그것을 배격하였다. 그것은 또 日本 학풍에의 그대로의 맹종이라 보아서, 우리 학계의 입장에서는 일고의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규정하여 그 학적 가치를 무시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손진태의 한국사학
Download : 손진태의 한국사학.pptx( 44 )
손진태의 한국사학 , 손진태의 한국사학인문사회레포트 , 손진태 한국사학
손진태,한국사학,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손진태의 한국사학
_SLIDE_1_
손진태(孫晋泰)
_SLIDE_2_
Ⅰ. 생애
1900. 12.28 ~ 1950()
본관 : 밀양 / 아호 : 남창
1932 조선민속학회 창설
1933 ``조선민속`` 창간
1934.05.07 진단학회 창설
1933 귀국 후 강사활동
8.15 (광복) 이후 서울대학교 교수 등 중직역임
한국전쟁 때 납북
_SLIDE_3_
Ⅰ. 생애-학문적 생애
민족항쟁기 - 민속학자
광복 후 역싸학자
일제시대 역싸학 연구X
현실정치를 초월하여 일반 민중의 culture가 가지는 보편성 인식
민속학 저작
민족이 살아나갈 길을 명시하는 학문 추구
신민족주의사관
역싸학 저작
_SLIDE_4_
Ⅱ. 민속학에서 한국사학으로 전환
1930년대 말 연구에 대하여
“내가 신민족주의 조선사의 저술을 기도한 것은 소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던 시대부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