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01:02
본문
Download :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hwp
④ 장애인용 트레이닝웨어 개발 : 디자인과 기능적 측면이 모두 고려된 의복이 개발되어야 한다.
1. 지체장애아(뇌성마비아)의 의복여밈의 수행능력과 색상 선호도
뇌성마비아동의 의복 여밈 수행능력을 experiment(실험)한 결과, 가장 쉽게 다룰 수 있는 부속품은 지퍼이며, 비교적 손에 힘을 주어 수행하여야 하는 단추 채우기와 리본 매기 등은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부위와 정도에 따라 상의는 상하지장애용, 하지장애용, 상지장애용으로, 하의는 보행가능자용, 좌립 생활자용, 욕창예방용으로 각각 구분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project를 제시하였다.
다.
② 소재 : 욕창방지를 위한 솔기 없는 소재, 발한량이 많은 사람을 위한 흡습성이 좋은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의 분류와 그에 관한 data(資料)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고, 장애인의 의복 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지체장애자를 위한 의복의 개발이 거의 되지 않고 있으므로, 지체장애자를 위한 의복의 개발은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project이다.
① 하반신의 사이즈 : 지체장애자 중, 뇌성마비자는 대개 하지가 짧고 변형이 심한 반면, 척추 손상자는 길이는 정상이지만 현저한 근육위축으로 인해 하반신 장애의 형태가 매우 다르므로 각각 장에 증상에 따른 의복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⑤ 장애인의 내의 : 욕창방지를 위한 솔기 없는 내의와, 중증 장애인도 착탈이 용이한 브래지어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






레포트/인문사회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日本(일본) 유니폼 센터의 우라베(うらべ, Urabe,1981)는 지체장애인의 작업복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③ 패스너의 개발 : 장애인의 자립적 착탈의를 수행하기 위해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패스너가 개발되어야 한다.
⑦ 유행성 : 입고 벗기 쉬운 기능성분(成分)만 이니라 미적으로도 장애인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의복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skip)
설명
Download :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hwp( 36 )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의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 ,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인문사회레포트 ,
지체장애인의의복착탈의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⑥ 착탈이 용이한 의복 개발 : 중증 장애인도 착탈이 용이하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