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 理論(Attribution Theory)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10:47
본문
Download :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에 관한 연구.hwp
그러나 1970년대로 넘어와서부터는 소위 귀인theory 이라는 이름의 사회심리학적 학설이 크게 대두되기 처음 하면서 바로 이러한 입장에서 태도 변용의 원리도 설명(說明)하려는 새로운 태도 변용 theory 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즉 내적인지 체계의 일관성을 내세우는 인지부조화 theory 과 외적 일관성을 내세우는 자기지각 theory 이 태도연구에 있어 주류를 형성하였는데 7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자기지각 theory 이 더욱 각광을 받게 된다 이같은 추세는 인간의 행동 동기를 사회적 외적 일관성 유지 성향으로 보는 경향이 우세하였기 때문일것이다
그후 벰의 자기지각 theory 은 인간의 행동동기를 사회적 지각상의 일관성 유지 성향으로 보려는 사회 지각 theory (social perception theory)으로 발전하고, 다시 하이더에게서 연원 되어 존스(Jones)와 켈리(Kelly) 등에 의해 발전된 귀인 theory 으로 체계화된다
비록 이와 같은 귀인 theory 은 하나의 일반적인 사회 심리학학적 theory 이지만, 그것은 태도 변용의 원리를 설명(說明)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태도 변용에 관한 연구 분야에서도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1. 귀인 theory 의 배경
2. 귀인theory 의 기본 가정
3. 자기 지각 theory
(1) 개시결과 (The Foot-in-the-door Effect)
(2) 지나친 정당화 결과 (Overjustification Effects)
(3) 자기지각 theory 에 대한 평가
4. 자기 지각과 태도에 대한 내적 감definition 결과 : 부조화 theory 대 지각 theory
5. 태도에 대한 애매한 내적 단서의 결과
(1) 정서적 適應(적응)성
(2) 거짓된 생리적 피드백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
6. 커뮤니케이터 행위 原因에 대한 수용자의 귀인
7. 요약
1. 귀인 theory 의 배경
1950년대까지는 주로 학습 theory 적 입장에서 태도 변용을 설명(說明)하려는 theory 들이 그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1960년대에는 인지균형theory 계통의 태도 변용 theory 들이 학계를 풍미해왔다. 귀인 theory 의 요지는 사람들이 watch하는 언어적, 외적 행위로부터 태도나 의도 같은 행동의 근저에 있는 특징들을 추론한다는 것이다.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귀인理論(AttributionTheory)에관한연구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귀인 理論(Attribution Theory)에 관한 연구
설명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1.gif)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2.gif)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3.gif)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4.gif)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5.gif)
%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6.gif)
귀인이론(AttributionTheory)에관한연구 ,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에 관한 연구.hwp( 36 )
다.
2. 귀인theory 의 기본 가정
귀인이란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된 이유, 어떤 사람이 무엇인가를 하거나 말하게 된 이유, 혹은 우리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말하게 된 이유, 혹은 우리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말하게 된 이유에 대해 행하는 추론을 말한다. 귀인theory 은 1965년 Bem의 자기 지각 theory 에서 꽃피게 된다 인지부조화 theory 과 자기지각 theory 은 서로 다른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1970년대 태도 연구에 있어 두 theory 은 쌍벽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