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8 17:36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hwp
설명
순서
장애아동,가족,자좀심향상,프로그램,인문사회,레포트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장애아동 가족 자존감향상 program 계획서
Ⅰ. program 실시 배경
1. 理論(이론)적 및 경험적 기반
1) 理論(이론)적 배경
비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장애아동이 태어나고 평생을 돌보아야 하는 부모에게는 헤쳐나가야 할 난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닌 것을 경험해보지 않고 단언하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
레포트/인문사회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한편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로는 Schaefer(1965)가 부모의 아동에 대한 역할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한 두개의 차원, 즉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관계를 다루는 애정-적대 차원과 부모가 아동의 행동에 부과하는 통제와 제한을 다루는 자율-통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Baumrind(1977,1991ab)는 세가지 유형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분류하면서 부모가 아동에게 행사하는 통제, 성숙요구, 의사소통, 양육정도에 따라 독재적-권위주의적 태도(Auth…(To be continued )
Download :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hwp( 66 )
장애아동 가족 자좀심향상 프로그램
다. 홍경자와 유정수(1996)는 Matthew Mckay, Patrick Fanning의 자기존중감 향상법을 설명(explanation)한 번역서 ‘나를 사랑하기’에서 자기존중감은 정신건강의 核心이며 자기 가치를 가늠해 주는 기분 좋은 감정이기에 자기존중감이 없는 삶은 고통에 처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동과 adolescent(청소년), 성인들의 관한 조사에서는 일치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環境(환경)이 낮은 자기존중감을 유발시킬수도 있지만 높은 자기존중감으로 외부環境(환경)을 결정짓게 할 수도 있음으로 낮은 자기존중감을 치료하는데는 내담자의 사고를 變化(변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마음속에서부터 나오는 자기비난의 소리를 통제하도록 도와야 하며 부정적인 사고를 유발시키는 부정적인 자아정체감에 역점을 두고, 자기연민 내지 자기온정(self-compassion)을 개발시켜 자기 비난적인 사고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시기에는 양육자의 높은 자기존중감은 중요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또한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생후 3-4년 동안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이의 자기존중감의 형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