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08 23:08
본문
Download :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hwp
대체로 소성지수가 Ip≥30인 흙에서도 일축압축시험결과를 Φu〓0해석에 적용할 수 있으며 Ip10인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결국 이 시험방법은 전단저항각이 영에 가깝고 균열이 없으며 거의 포화된 점성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따 이 시험결과는 실제의 현장조건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점성토의 전단강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할 수 있으므로 많이…(省略)
순서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
Download :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hwp( 50 )
실험결과/건축토목
설명
공학,토목,일축,압축,실험,건축토목,실험결과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 ,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건축토목실험결과 , 공학 토목 일축 압축 실험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1.gif)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2.gif)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3.gif)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4.gif)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5.gif)
![[공학]토목%20-%20일축%20압축%20실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D%86%A0%EB%AA%A9%20-%20%EC%9D%BC%EC%B6%95%20%EC%95%95%EC%B6%95%20%EC%8B%A4%ED%97%98_hwp_06.gif)
[공학]토목 - 일축 압축 실험
다. 實驗題目(제목) 일축 압축 實驗
1 . 개 요
1축 압축시험은 원주형태의 점성토 공시체를 측방 구속이 없는 상태로 압축하여 파괴시키는 시험으로, 시험결과로부터 1축 압축강도 qu 및 흙의 내부마찰각 (Φ) 과 점착력 (c)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불교란 점성토의 1축 압축강도와 함수량의 變化 없이 다시 이겨 성형한 점성토의 1축 압축강도와 함수량의 變化 없이 다시 이겨 성형한 점성토의 1축 압축강도의 비, 즉 예민비를 구할 수 있따 1축 압축시험 방법에는 변형제어형 (strain control type)과 응력제어형 (stress control type)의 두 가지가 있으나, 변형제어형이 많이 쓰이고 있따 이 시험방법은 KS F 2314에 규정되어 있따
점착력이 없는 흙은 성형이 되지 않으므로 1축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할 수 없다. 전단저항각이 영이어서 Mohr-Coulomb파괴 포락선은 가로축과 나란한 수평선을 이루고 점착력은 cu〓qu/2로 나타낼 수 있따 이때 qu를 일축압축강도 또는 비배수 압축강도라고 한다.
그러나 비교적 단단한 점토를 제외하고는 파괴면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으므로 전단저항각의 측정(measurement)이 어렵다. 물체가 전단파괴될 때에는 파괴면은 주응력면과 45+Φ/2 각도를 이루므로 일축압축시험을 하여 주응력면과 파괴면의 각도를 측정(measurement)하면 전단저항각을 결정할 수 있따 흙의 점착력은 파괴면의 형태에 effect(영향) 을 미치지 않으므로 파괴면의 각도를 측정(measurement)하여 흙의 전단저항각을 결정할 수 있따
전단저항각이 Φu이라면 Mohr-Coulomb 파괴 포락선은 가로축과 나란한 수평선을 이루고 점착력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