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4 22:30
본문
Download : 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hwp
즉, 이때 한국 유학의 쌍벽인 이퇴계(리퇴계)와 이율곡(리률곡)이 태어났으며, 서화담(서화담)·이항(리항)·김인후(금인후)·기대승(기대승), 그리고 성혼(성혼) 등도 모두 같은 시대의 성리학자들이다. 그 후 성균관의 유학자들에게 수용되어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사상으로서 새로운 학풍을 이루게 되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로서 이색(리색)·정몽주(정몽주)·길재(길재)·정도전(정도전)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정몽주·길재 등은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유교를 숭상할 것을 주장하는 데 그쳤고, 또 신왕조에 협력하지도 않았으나 정도전·하륜(하륜)·권근(권근) 등의 성리학자는 불교의 폐단뿐만 아니라 교리(교리) 자체를 논리적으로 변척(변척)하는 동시에 이태조를 도와 법전(법전)의 제정과 기본정책의 결정을 통하여 유교를 국시(국시)로 삼는 조선조가 성립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Download : 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hwp( 70 )
한국에 성리학이 들어온 것은 고려 말기, 충렬왕을 호종하여 원(원)나라에 갔던 안향(안향)이 《주자전서(주자전서)》를 가져와 연구하기 처음 한 데...
한국에 성리학이 들어온 것은 고려 말기, 충렬왕을 호종하여 원(원)나라에 갔던 안향(안향)이 《주자전서(주자전서)》를 가져와 연구하기 시작한 데... , 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에 성리학이 들어온 것은 고려 말기, 충렬왕을 호종하여 원(원)나라에 갔던 안향(안향)이 《주자전서(주자전서)》를 가져와 연구하기 스타트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성리학이 전성기를 맞이한 것은 16세기에 들어서였으며, 송대의 성리학이 이 땅에 전래된 지 300년 가까이 되어서였다. 그들은 성리학을 우리의 것으로 소화함에 있어 자연이나 우주의 문제보다 인간 내면의 성정(성정)과 도덕적 가치의 문제를 더 추구하였으니, 이퇴계와 기대승 및 이율곡과 성혼의 사단 칠정(사단칠정)에 관한 논변(론변)이 바로 그것이며, 그들은 이 논변을 통하여 ꡐ이기성정론(리기성정론)ꡑ을 활발히 전개시켰다. 이퇴계와 이율곡에 앞선 서화담은 그 …(省略)
동양 윤리 사상의 전개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한편 정몽주의 학풍을 이은 길재는 의리학(의리학)의 학통을 세웠고, 그 학통은 김숙자(금숙자)·김종직(금종직)·김굉필(금굉필) 그리고 조광조(조광조)로 이어지면서 기묘사화·을사사화 등의 희생을 겪었으나 도학의 의리정신은 면면히 계승되었다. 한편, 내면적 도덕원리인 인성론(인성론)은 송익필(송익필)·김장생(금장생) 등에 의하여 유교의 행동규범인 예설(례설)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