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com의 AIDA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6 06:42
본문
Download : Amazoncom의 AIDA 분석.hwp
즉 만약에 자신이 E-business에 관심이 있어 검색엔진에서 그 단어를 치게 되면 그와 관련된 도서라는 이름으로 아마존 웹사이트와 연관되게 했다. 잡지뿐만 아니라 TV, 신문 등을 통해 사이트의 주소를 알리는데 주력하였다. 일단 Yahoo에서 아마존을 치면 상위 6개까지 아마존 홈페이지에 링크가 된다된다. 또한 검색엔진에서 어떤 용어를 치더라도 ‘그와 관련된 책’이라는 용어가 옆에 나열되도록 했다. 개인 웹페이지를 활용하는 measure(방안) 도 이용했다 - 개인 웹페이지에 아마존의 배너를 실어 방문자가 그 웹페이지를 통한 아마존의 쇼핑구입을 하게되면 일정 수수료를 개인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다 (Join association) - 이렇게 함으로 보다 많은 개인 웹페이지에서 아마존의 존재를 알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아 그리고 아마존은 바구니(www.baguni.com) 과 이음책방(ium.net/book/)이라는 사이트와 연계해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색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치면 자사의 웹페이지를 발견할 수 있게 했을 뿐 아니라 우측 상단에 조그마한 배너를 띄워 자사의 웹페이지를 링크시킴으로써 고객이 한번 더 쉽게 인지하고 방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사이트들은 웹 페이지 군데군데에 아마존의 광고와 하이퍼링크를 삽입해 놓아서 언제라도…(To be continued )
다. 뿐만 아니라 유명한 웹사이트 즉 사람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에 배너를 통한 광고로 ‘아마존’의 웹사이트와 연관되게 하였다.
Amazon.com의AIDA분석 , Amazon.com의 AIDA 분석경영경제레포트 ,
Amazon.com의 AIDA analysis
순서
Download : Amazoncom의 AIDA 분석.hwp( 57 )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Amazon.com의AIDAanalysis
* Attention
* Interest
* Desire
* Action
아마존이라는 이름은 흔히 알려져 있는 단어이다. 고객의 방문이 많은 3개의 웹사이트(Yahoo, Excite, America online`s homepage)에 배너 광고를 실어 아마존의 존재를 인식하도록 했다. 아마존은 전 세계인이 공통적으로 쓰는 Yahoo나 Altavista에 링크를 시켜놓고 무슨 물건을 고르거나 특정단어를 입력하면 아마존에 있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도록 각종 사이트에 꾸준히 등장한다. 아마존은 기존의 오프라인 미디어를 통해 고객들이 가상서점으로서 www.amazon.com 이라는 웹사이트를 기억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