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7 02:01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hwp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
,법학행정,레포트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 ,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법학행정레포트 ,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
순서
설명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정보화
목차
*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정보화
Ⅰ. 수출입 관련 정보화
1. 물류망
2. 상역망
3. 통관망
4. 종합물류정보망
Ⅱ. 항만 관련 정보화
1. Port-MIS
2. 한국물류정보통신(KL-Net)
3. 항만 및 해운기업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정보화
1. 수출입 관련 정보화
1) 물류망
한국물류정보통신(주)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물류망은 해상, 도로, 철도, flight(항공)화물의 운송 및 거래에 관련된 전자문서 및 데이터를 다루는 정보망이다.
물류망은 물류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물류기간망과 상업적 거래활동으로서 물류지원 역할을 담당하는 물류지원망으로 구분할 수 있따 물류기간망에는 수출입 해상화물을 대상으로 하는 해상화물정보망, 송수하주간의 화물운송과 차량알선/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륙화물정보망, 대량화물 운송을 담당하는 철도화물정보망, 수출입 flight(항공)화물을 대상으로 하는 flight(항공)화물정보망 등이 있따
그리고 물류지원망에는 금융, insurance, 수출입 인허가절차 등을 지원하는 상역망과 수출입 통관 및 보세화물관리를 지원하는 통관망 등이 있따
2) 상역망
상역망(금융, insurance부문 포함)은 산업자원부와 한국무역정보통신(주) 및 (주)데이콤 주관으로 운영되고 있따 각 기업체 또는 다른 망과의 상호연계를 위해 정보통신부 주관 아래 국제표준화된 X.400, X.435, X.25, X.75를 통신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따 그리고 문서표준은 UN/EDIFACT 국제표준을 기준으로 서식과 전자문서 형태의 상호 간의 변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따
상역망은 1998년 2월 국가사회 전산화중장기 분야별 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전산원에서 무역업무 종합자동화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스타트한 이후, 1990년을 출발점으로 하여 1992년 11월에 무역자동화 지정사업자로 한국무역정보통신(주)와 (주)데이콤이 지정되어 사업을 해오고 있따
3) 통관망
행정전산망 제1…(省略)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우리나라항만물류의정보화.hwp( 83 )
다. 종합물류 정보망은 통관, 입출항 등 물류관련 업무를 거래당사자가 인편이나 우편에 의존하는 서류 대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합의된 표준전자문서인 EDl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해상, 도로, 철도, flight(항공)운송 간의 상호 연계 및 상역, 금융, 통관, 운송 등 수출입의 모든 업무를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일괄정보서비스를 위한 정보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