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9 08:19
본문
Download :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hwp
우리는어디로가는가 ,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공학기술레포트 ,
다. 자동기계는 생산에서 인간의 노동을 더육 효율적이게 하고, 인간의 육체적 노동을 무력화시킨다고 보았다. 즉 현실이 이를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고 하였다.
제2차산업혁명의 결과를 인간노동의 자동기계로의 대체, 인간 육체노동의 무력화, 노동으로부터의 인간해방 실현, 노동의 소멸과 삶의 의미 상실로 보았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서 일어난 제1차 산업혁명의 본질적 the gist은 생산의 영역에서 인간의 `육체적 힘`을 기계의 힘으로 바꾼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제2차 산업혁명의 the gist은 인간의 `지적인` 능력이 자동기계로 보충되거나, 심지어 자동기계로 완전히 대치된다는 사실이다. 제1차 산업혁명과 비교해서 말하자면, 제2차 산업혁명은 생산기술의 진보가 질적인 비약을 이룩하였으며, 기술의 진보에서 양적 성장의 연속성이 무너졌다.
인간에게 살아있는 자연 전반에 대한 지배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과 자신의 고유한 `자아`를 지배할 수 있게 해주는 놀라운 變化가 생물학 분야에서 일어날 것이다. 제1차 산업혁명이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구원하고 노동의 효율성을 제고했던 데 반해, 제2차 산업혁명은 결과적으로 노동하는 존재라는 인간의 필연성을 제거해버렸다는 점이 제1차 산업혁명과 제2차 산업혁명의 차이점이다.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아담 샤프의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책을 읽고 적은 감상문입니다. 지식의 어떤 진보도 그 자체로서 반…(省略)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Download :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hwp( 39 )
설명
우리는어디로가는가
아담 샤프의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책을 읽은후 적은 感想文(감상문) 입니다. 생물학의 진보는 사회생활의 영역에서 아주 환상적인 장밋빛 조망과 더불어 동시에 무시무시한 위험을 야기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 문제란 전통적인 의미의 인간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모종의 제도를 발견해야 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따 특히 인간의 물질적 필요를 만족시키는 수입의 원천뿐만 아니라, 말하자면 인간 활동의 동기, 비물질적인 만족과 정신적인 욕구의 근거가 되는 노동의 소멸과 더불어 `삶의 의미`마저 상실할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레포트/공학기술
책의 본론을 간추려 보자면 세가지 과학기술혁명을 전자공학과 유전자공학, 에너지혁명이라고 보았으며 현재의 과학기술혁명의 설명(explanation)을 위해 토대와 상부구조의 상호작용의 마르크스 theory(이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