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4 22:31본문
Download : 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hwp
□ 지금까지는 대규모 댐 개발을 통해 필요한 수자원을 확보해왔으나 갈수록 어려움에 봉착
○ 현재 우리가 이용하는 상수도는 주로 하천수 또는 댐 저장수이며, 갈수기 하천 유지용수도 상류지역에 설치된 댐에 의존하고 있음
○ 문제는 대규모 댐을 건설하여 수자원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는 사실
- 댐 개발적지가 소진된 상태에서, 이주비 등 댐 건설비가 막대하게 소요되고
- 環境문제에 대한 우려와 수몰지역주민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어지고 있음
□ 대체 수자원의 개발과 적절한 물 수요관리가 시급
○ 우리나라의 경우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연간 1,550㎥으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됨
○ 이제 물 수요관리를 강화하고 環境친화적인 대체 수자원을 적극 개발하여 국가경쟁력의 the gist요소인 수자원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함
○ 정부에서는 2000년부터 「물절약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음
- 지난 3년간 총 450백만톤의 물 절약 성과를 거둠
○ 물 절약 종합대책상 14개 과제(problem)중 하나로 빗물이용시설 설치 확대가…(skip)
Download : 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hwp( 27 )
열심히 준비 하였습니다.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외국 주요하천의 유량변동계수를 살펴보면, 테임즈강 8, 세느강 34, 라인강 18, 나일강 30, 미시시피강 3, 요도강 114이다.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 , 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인문사회레포트 ,
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




열심히 준비 하였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빗물이용시설관련정책방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1. 빗물이용시설의 피료썽
2. 우리나라의 빗물이용시설 present condition 및 관련규정
3.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정책 방향
4. 맺음말
1. 빗물이용시설의 피료썽
□ 우리나라의 수자원 관리여건은 매우 불리함
○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연平均(평균) 강수량(1,283㎜)은 세계平均(평균)(973㎜)의 1.3배이지만, 인구 1인당 연 강수총량(2,705㎥)은 세계平均(평균)(26,800㎥)의 1/10에 불과
○ 연강수량의 2/3가 6~8월의 장마와 태풍기간에 집중되고, 갈수기(11월~다음해 4월)에는 연 강수량의 1/5가 내리는데 그침
○ 국토가 산악지형인데다 토양의 표토층이 얇아 홍수가 일시에 유출되고 갈수기에는 유출량이 적음 우리나라 하천의 流量變動係數(하상계수, 풍수기 최대유량/갈수기 최소유량)는 300~400 정도로 외국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