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environment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로터,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7 04:51
본문
Download : 20212중과_유아1_인간행동과사회환경_공통.zip
특히 실제로 나타나는 동작적 행위, 언어적 행동, 비언어적 표현, 정서적 반응과 같은 광범위한 의미의 행동이 구체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다. 그 발생 가능성이 크면 잠재강도가 크다고 하고 낮으면 잠재강도가 낮다고 한다. 내면화가 이루어지면 아동은 도덕적인 행동과 비도덕적인 행동을 인지하게 된다. 이것은 어린이가 실생활이나 상상 속에 존재하는 모델에 의해 표현된 바람직한 반응이나 행동, 태도를 재생산해 내는 것을 말한다.
3. adolescent(청소년)교육(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
III. 결 론
II. 본 론
2.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理論.hwp
Reference List
- 중략 -
설명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結論(결론) 작성시 참조.hwp
I. 서 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방통대인간행동과사회환경,방송대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간행동과사회환경과제물,인간행동과사회환경과제,인간행동과사회환경레포트
1. 로터(J. B. Rotter)의 사회적 학습theory(이론)
사회학습theory(이론)은 인간의 모든 심리적 기능은 개인과 環境(환경)적 요인의 계속적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 의해서 파악할 수 있을 때만이 說明(설명)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모방은 관찰을 통한 학습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잠재 가능성은 일정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반두라(Bandura)는 상호결정론이라 하여 사람(p), 環境(환경)(e) 그리고 그 사람의 행동(b)의 상호작용 이 세 가지 요소 중 어떤 것도 다른 것과 떨어져서는 인간행동의 결정요인으로 이해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부모들이 도덕적 규칙과 조정의 모델이 되며 아동은 결과적으로 그것들을 내면화한다.
3. 사회적 학습理論에 대한 본인의 견해 또는 경험.hwp
4. adolescent(청소년)교육 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hwp
사회학습theory(이론)에서는 아동이 모방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을 학습한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은 상황에 따라 alteration(변화) 하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행동을 기대한다는 것은 어렵다.
2021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environment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로터,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理論)
I. 서 론

<< 함께 제공되는 참고data(資料) 한글파일 >>
이를 說明(설명) 하기 위해 그가 사용한 관념이 행동의‘` 잠재강도(behavior potential)’이다. 어린이는 한 모델의 행동만을 모방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기 때문에 아동에 의해서 재생산된 행동은 독특한 속성 을 갖는다. 이것을 인간-행동-環境(환경)의 상호결정론이라고 한다. 그에 따르면 특수한 상황에서 특별한 goal(목표) 를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은 큰 경우와 작은 경우가 있다. 아동은 자기가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족이나 선생님의 행동을 모델로 하여 관찰한 결과로써 도덕적 행동을 학습한다. 사회학습theory(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이 접하게되는 環境(환경)은 아무렇게나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선택된 環境(환경)이며, 이 環境(환경)은 또한 사람들 자신의 행동을 통해서 alteration(변화) 되기도 한다.
1. 로터(J. B. Rotter)의 사회적 학습理論
로터(J. B. Rotter)와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理論을 설명(explanation)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를 작성하며, adolescent(청소년)교육(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理論
1) 로터(J. B. Rotter)의 사회적 학습theory(이론)
1. 로터의 사회적 학습理論.hwp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Download : 20212중과_유아1_인간행동과사회환경_공통.zip( 42 )
순서
II. 본 론
- 목 차 -
로터는 인간의 행동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예측하는 데 관심을 많이 두었다.
로터(J. B. Rotter)와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를 작성하며, 청소년교육(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로터(J. B. Rotter)의 사회적 학습이론 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이론 3. 청소년교육(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로터의 사회적 학습이론.hwp 2.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hwp 3. 사회적 학습이론에 대한 본인의 견해 또는 경험.hwp 4. 청소년교육 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hwp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결론 작성시 참조.hwp
이 리포트는 로터(J. B. Rotter)와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적 학습theory(이론)을 說明(설명) 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를 작성하며, 청소년교육(또는 유아교육, 성인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또한 모델이 규칙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그러한 행동을 억제하는 대리적 학습도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