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사에서의 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9 08:06본문
Download : 백제사에서의 전쟁.hwp
날래고 용맹한 것은 오직 적기뿐이니 만약 이를 선공하면 그 나머지는 저절로 항복할 것입니다.”『삼국사기』24 백제본기 근구수왕 즉위년조.
고 한 데에서 유추된다 근초고왕이 열병하면서 동원병력 모두에게 황색의 기치를 사용하도록 한 것도 바로 같은 해에 있었던 이 싸움에서 고구려 패배의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생각된다 말하자면 각 병종별 구성별로 강약이 드러나는 고구려 군사 운용의 약점을 직접 싸움을 통해 간파한 근초고왕이 병종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황색으로 일괄 통일함으로써김영하 앞의 논문(1988) pp.55-56 및 문동석, ⌈4-5세기 백제 정치체제의 변동⌋(『한국고대사연구』9, 1996), p.196애서는 이를 부체제 아래서의 군사력을 공적인 군사조직내로 흡수하는 사정을 반영하는 것…(skip)
다. 그 점은 우선 근초고왕 28년(374) 청목령에 축성할 때 독산... , 백제사에서의 전쟁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설명
백제사에서의 전쟁
,기타,레포트
순서
황색기치를 사용한 병력 속에 민으로 구성된 병력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상상된다 그 점은 우선 근초고왕 28년(374) 청목령에 축성할 때 독산성주가 3백인을 거느리고 신라로 도망을 갔다는『삼국사기』24 백제본기 근초고왕조.
사실로부터 유추된다 이는 민을 공병으로 적극 끌어들이려는 시도였음을 시사하기 때문일것이다 그에 대한 재지세력의 반발이 신라에로의 탈출로 표출되었을 것이다.
그처럼 지방민을 병력으로 적극 활용한 것은 같은 시기의 고구려에서도 엿보이는 사실이다.






Download : 백제사에서의 전쟁.hwp( 85 )
황색기치를 사용한 병력 속에 민으로 구성된 병력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상상된다된다. 근초고왕 24년(369)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2만의 병력으로 백제를 공격하여 왔을 때 그에 참여한 인물로서 원래는 백제인이었던 사기가 고구려의 병력 구성을 태자 근구수에게 내밀히 알려 주면서 한 말 가운데 “고구려 군사는 비록 많지만 모두 수만을 갖춘 의병일 뿐입니다. 그 점은 우선 근초고왕 28년(374) 청목령에 축성할 때 독산...
황색기치를 사용한 병력 속에 민으로 구성된 병력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상상된다. 이보다 약간 뒤늦은 시기이지만 아신왕 8년(399) 고구려를 공격하고자 병마를 크게 징발하려 하였을 때 민들이 역에 고통스러워 신라로 많이 도망하여 호구가 쇠멸하는 일이 있었다는 것도『삼국사기』25 백제본기 아신왕조.
이 시기 병력 동원에 민의 활용도가 높아져 간 저간의 사정을 잘 반증하여 주는 事例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