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5 11:34
본문
Download :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hwp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또 츠베탕 토도로프는 이와 비슷하면서 발상이 다른 두 개의 정이 을 생각했는데 그는 서사가 이 두 개의 정이 인 이야기(histoire)-내용 또는 사건들(행위, 사고 happening) 및 존재하는 것들이라 불리는 것들(인물들, 배경들 등)-와 담화(discours)-표현, 내용이 전달되는 수단; 간단히 말하면, 이야기는 서사물에서 묘사되는 무엇이고,…(To be continued )
레포트/감상서평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20C에 들어와서 E.M.포스터는 서사를 이야기(story)와 플롯으로 이분하였고, 그와 비슷한 시기에 러시의 형식주의자들은 소쉬르의 기호학적 바탕 위에서 새로운 정이 으로 서사구조를 分析(분석)한다. 프랑스의 구조주의자인 Claude Bremond는 그의 저서에서 서사물(narrative message)은 그것을 운반하는 기법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그 본질적 성질을 잃지 않으면서 하나의 매체에서 또 다른 매체로 옮겨 갈 수 있다고 했다. Viktor B.Sklovskij는 재료(Material)에 해당되는 것을 파블라(fabula)라 불렀으며, 그 재료를 예술적으로 구성한 것을 쉬제트(Sujet)라 불렀다. 이 같은 매체의 차이 위에 존재하는 어떤 구조를 가정하고 그 구조를 일컬어 서사구조(narrative structure)라 불러왔다.소설과영화의서사구조 ,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감상서평레포트 ,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
,감상서평,레포트
1. 서사구조에 대한 접근
영화와 소설이 동일한 서사장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어떤 구조적 맥락에서 두 매체가 가진 구조의 동일성 내지는 유사성을 전제로 할 때 가능하다. 그는 미토스(Mythos)라는 표현으로 지금의 플롯(Plot)의 정이 을 생각했다.
그들은 종래의 「형식」이 단지 「내용」을 담는 그릇이라는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파기하고 재료와 기법이라는 새로운 정이 을 생각해 낸다.
설명
순서
Download : 소설과 만화영화의 서사 구조 연구.hwp( 15 )
소설과영화의서사구조
다. 이런 전이의 가능성은 영화와 소설이 매체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그 매체들에 내재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어떤 구조의 존재를 가정할 수 있게 하는 바탕이 된다
서사(narrative)가 가진 구조에 대한 논의의 출발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Poetics」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