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 골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1 02:07
본문
Download :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hwp
레포트 > 의학계열
질환별 물리치료,골절 개요,상지 골절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4317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A7%88%ED%99%98%EB%B3%84%20%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3%A8%EC%A0%88%20%EA%B0%9C%EC%9A%94%EC%99%80%20%EC%83%81%EC%A7%80-4317_01_.jpg)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4317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A7%88%ED%99%98%EB%B3%84%20%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3%A8%EC%A0%88%20%EA%B0%9C%EC%9A%94%EC%99%80%20%EC%83%81%EC%A7%80-4317_02_.jpg)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4317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A7%88%ED%99%98%EB%B3%84%20%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3%A8%EC%A0%88%20%EA%B0%9C%EC%9A%94%EC%99%80%20%EC%83%81%EC%A7%80-4317_03_.jpg)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4317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A7%88%ED%99%98%EB%B3%84%20%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3%A8%EC%A0%88%20%EA%B0%9C%EC%9A%94%EC%99%80%20%EC%83%81%EC%A7%80-4317_04_.jpg)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4317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A7%88%ED%99%98%EB%B3%84%20%EB%AC%BC%EB%A6%AC%EC%B9%98%EB%A3%8C%5D%20%EA%B3%A8%EC%A0%88%20%EA%B0%9C%EC%9A%94%EC%99%80%20%EC%83%81%EC%A7%80-4317_05_.jpg)
Download :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hwp( 20 )
1. Definition of Fx.
골절의 개론
완전, 불완전하게 소실되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것.
골절의 개론 1. Definition of Fx. 골절(fracture)은 bone 이나 epiphysis plate 또는 articular surface의 연속성이 완전, 불완전하게 소실되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것.
순서
(1) 손상의 정도: 심한 손상을 받으면 괴사조직과 혈종이 많아지고 뼈발생세포 출현도 장애되며 혈관 증식도 지연되 국소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골철치유가 지연됨.
[질환별 물리치료] 골절 개요와 상지 골절
(4) 혈액 질환: 만성 소모성이므로 전신쇠약을 동반하고 영양상태가 불량하므로 골절치유가 지연된다된다. (5) 만성 소모성 질환: 결핵과 같은 만성 소모성 질환은 골절 치유를 지연시킨다. 성장기에는 재형성 이 빠르게 진행되어 각 변형도 교정되는 수가 많다.
(2) 개방성 골절: 골절부에 연부조직 소실, 염증, 혈행장애, 혈종 형성등으로 치유지연.
설명
다. 염증 제거되는데 대부분 쓰임.
(6) 신경마비: 신경이 차단되면 골절부위에 대한 생리 전기 자극이 감소되어 골절치유가 지연되나 중 추신경 마비일 경우 골절치유가 오히려 촉진된다된다.
(7) 기타: 항응고제(Anticoagulauts)는 골절 치유를 지연시킨다. 그러나 성장 호르몬은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골절의 치유를 촉진시킨다고 보고 있다아
(1) 연령: 소아에서 골막의 골원성 세포의 활동이 왕성하여 골절의 치유가 빠르다. 그러나 20세가 지나가면 그 이후에는 골절치유의 기간이 거의 일정하게 되고 골의 재형성도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
(3) 전신 감염 여부: 전신적인 감염상태에 있을 때 골유합이 지연된다된다.
골절(fracture)은 bone 이나 epiphysis plate 또는 articular surface의 연속성이
2) Local factors
(2) 내분비계의 활동: 대체로 부신피질 호르몬이나 인슐린 과다분비, 부갑상선의 과다분비 그리고 거 세(Castration)등은 골절의 치유를 지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