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st 최종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1 13:03
본문
Download :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hwp
장비 속 시료의 간극비는 건조단위중량과 비중을 이용하여 측정(measurement)하였고 그 결과 상대밀도는 56.89로 medium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또 사질토이기 때문에 점착력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고 실제로 0.118 값이 나왔고 실험오차로 무시할만한 값이었다.
다. 이는 조밀한 상태의 사질토 내에 전단변형이 발생하면, 본래 입자와 입자들이 억물림 상태에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얼마간의 압축이 일어나지만, 그 후 전단변형이 더 커지기 위해서는 뒤의 입자가 앞의 입자위로 굴러 올라가거나 입자가 전단변형을 따라 깨지면서 부피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토압, 사면의 안정, 구조물의 기초의 지지력 등의 계산에 이용된다.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st 최종보고서
순서
수평변위와 수직변위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수직변위가 처음에는 조금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처음 변형을 가할 때에 비해 나중으로 갈수록 속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는 처음에는 잘 밀리지 않아 강한 힘을 가하면서 큰 변형이 일어났고 어느 정도 변형이 일어난 후에는 약한 힘으로도 밀리기 때문에 속도가 비교적 일정하지만 느리다고 생각할 수 있다
Download :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hwp( 68 )
직접전단시험을 통해 사질토(주문진사)의 전단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직접전단 시험은 상하로 분리된 전단상자 속에 시료를 넣고 수직하중을 가한 상태로 수평력을 가하여 전단상자 상하단부의 분리면을 따라 강제로 파괴를 일으켜서 간편하게 지반의 강도정수를 결정할 수 있는 시험이다. 이를 바탕으로 Peck에 의한 내부마찰각은 30~36로 예상할 수 있고 Meyerhof 에 의한 내부 마찰각은 35~40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전단시험으로 구한 내부마찰각은 52.36가 나왔다.
설명
직접전단 시험은 상하로 분리된 전단상자 속에 시료를 넣고 수직하중을 가한 상태로 수평력을 가하여 전단상자 상하단부의 분리면을 따라 강제로 파괴를 일으켜서 간편하게 지반의 강도정수를 결정할 수 있는 시험이다. 사질토에서 내부마찰각이 52.36이면 Sowers and Sowers의 표에 따르면 모가 나고 입도분포가 좋으며 조밀한 사질토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Terzaghi & Peck의 표에 따르면 둥글고 입도분포가 균질하고 조밀한 모래라고 판단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이번 시험에서 사용된 주문진사는 입도분포가 좋고 조밀한 모래라고 얘기할 수 있다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1872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7%80%EB%B0%98%EC%A1%B0%EC%82%AC%20%EB%B0%8F%20%ED%86%A0%EC%A7%88%20%EC%8B%9C%ED%97%98%5D%EC%A7%81%EC%A0%91%EC%A0%84%EB%8B%A8te-1872_01_.gif)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1872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7%80%EB%B0%98%EC%A1%B0%EC%82%AC%20%EB%B0%8F%20%ED%86%A0%EC%A7%88%20%EC%8B%9C%ED%97%98%5D%EC%A7%81%EC%A0%91%EC%A0%84%EB%8B%A8te-1872_02_.gif)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1872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7%80%EB%B0%98%EC%A1%B0%EC%82%AC%20%EB%B0%8F%20%ED%86%A0%EC%A7%88%20%EC%8B%9C%ED%97%98%5D%EC%A7%81%EC%A0%91%EC%A0%84%EB%8B%A8te-1872_03_.gif)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1872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7%80%EB%B0%98%EC%A1%B0%EC%82%AC%20%EB%B0%8F%20%ED%86%A0%EC%A7%88%20%EC%8B%9C%ED%97%98%5D%EC%A7%81%EC%A0%91%EC%A0%84%EB%8B%A8te-1872_04_.gif)
![[지반조사 및 토질 시험]직접전단te-1872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7%80%EB%B0%98%EC%A1%B0%EC%82%AC%20%EB%B0%8F%20%ED%86%A0%EC%A7%88%20%EC%8B%9C%ED%97%98%5D%EC%A7%81%EC%A0%91%EC%A0%84%EB%8B%A8te-1872_05_.gif)
직접전단시험에서 시료를 밀어주는 수평 속도는 일정해야 한다. 그 결과는 토압, 사면의 안정, 구조물의 기초의 지지력 등의 계산에 이용된다 직접전단 시험에서는 전단중에 최대주응력의 방향이 변하므로 학술적인 의미는 적은 시험이지만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정밀한 삼축시험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실무에서 자주 이용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지반조사,토질,직접전단test,직접전단 시험
상대밀도를 구하기 위해 최대 간극비와 최소 간극비, 그리고 직접전단시험 장비에 들어가 있는 시료의 간극비를 이용하였다. 느슨한 상태였다면 처음부터 수직변위가 감소하였을 테지만 다짐을 하여 넣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 다짐을 많이 하여 상대밀도가 클 것으로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작았다. 직접전단 시험에서는 전단중에 최대주응력의 방향이 변하므로 학술적인 의미는 적은 시험이지만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정밀한 삼축시험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실무에서 자주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