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9 22:12
본문
Download : 인간의 이해.hwp
이 goal(목표) 는 모든 사상의 ‘아르키메데스의 점’, 즉 고정되고 부동하는 중심이었던 것이다. 카시러가 자기인식이야말로 모든 사상의 ‘아르키메데스의 점’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 말은 어떤 의미에서는 수사학적인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왜냐 하면 절대자로서의 신은 완전한 존재이고, 따라서 생각과 실천 사이에 어긋남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동물들도 자기 자신을 탐문하는지에 대해 단정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부정할 수 없을지는 몰라도, 동물들은 자기 자신이 왜 강아지이고 망아지인지를 묻지 않는다.
철학의 모든 학파에서 인간의 자기인식이 철학적 사유의 최고goal(목표) 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왜냐 하면 자기 자신에 대한 부족함을 깨닫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자기인식이란 인간존재의 독특한 존재양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자기인식이란 표현은 어느덧 인간에게만 쓰여지는 고유한 의미를 담게 되었다. “나는 나 자신을 탐구하였다”라고 헤라클레이토스(Herakleitos 530-470 B.C.)가 말한 것처럼 내가 나 자신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은 인간 자신에 관련되어 알고자 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다른 존재와 근본적인 차이를 갖고 있따 신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지 아니 한다. 그것은 회의론자들조차도 자기인식의 가능성 내지 necessity 을 부인하지 않고 있음을, 또한 여러 학파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연구방법, 범위 등에 있어서 서로 다름이 있다고 해도 모든 철학적 문제들은 직·간접적으로 ‘자기인식’의 문제와…(drop)
다. 意見을 달리하는 철학의 여러 학파간의 모든 충돌에 있어서 이 goal(목표) 는 변하지 않았고 또 흔들리지 않았다.인간의 이해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간의 이해.hwp( 44 )
인간의이해
인간의 이해
설명
인간의 이해인간의이해 , 인간의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독일의 철학자 카시러(E. Cassirer 1874-1945)는 그의 저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따 “자기인식(自己認識)이 철학적 탐구의 최고goal(목표) 라 함은 일반으로 인정되고 있는 듯하다.” 자기인식이란 인간이 인간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이다. 또 가장 회의적인 사상가들도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necessity 을 부인하지는 않았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