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03 10:13
본문
Download :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hwp
예를 들어, 아동이 부모의 처벌이나 비난을 면하고자, 부모의 규칙에 순응하기 위한 자아체계를 형성한다. 자아체계는 불안한 아동기로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사회]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理論)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
3. 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주요 세 가지 양상을 설명(explanation)
1. 설리반이 제안한 자아체계 정이 을 설명(explanation)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理論)
2. 자아상 형성의 세 가지 종류를 양육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설명(explanation)
다. 유아는 엄마의 양육에 따라 다른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면서 세 가지 자아상인 ‘좋은 나’, ‘나쁜 나’, ‘나 아닌 나’를 형성하게 된다된다. 즉, 자아체계와 진정한 자아와의 간격이 커질수록 정신분열적인 상황(심리적인 부適應)이 유발될 수 있다
Download :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hwp( 19 )
① 좋은 나 자아상(good-me)
5. 설리반이 제안한 불안에 대한 방어인 해리와 병렬적 왜곡을 설명(explanation)
6. 성격을 평가하는 기법으로서 면담의 네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explanation)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설리반이 제안한 자아체계 정이 을 설명(explanation)
순서
4. 개인이 세계를 경험하는 세 가지 방식
2. 자아상 형성의 세 가지 종류를 양육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설명(explanation)
7. 성격발달의 일곱 단계를 자아체계와 경험양식에 따라 간략하게 설명(explanation)
<용어정리(整理) >





발달의 주요한 결정요인은 상황에 따른 불안의 수준이다.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전감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작동기제(security operations)이며, 자아보호체계(self-protecting system)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서적인 괴로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보다 정서적인 안락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인이 대인관계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전략(戰略) 이다.
설리반, 설리반 대인관계 이론, 자아체계 개념, 인간상 형성, 역동성
설명
엄마가 양육 시 유아의 reaction(반응)에 온화하게 대하고 칭찬해주고 신체적인 보상을 해주면, 아이는 좋은 나의 자기 지각을 형성한다. 그러나 순응하는 자아체계는 진정한 자아의 발달을 저해한다. 좋은 나 자아상은, 의미 있는 대상인 어머니와의 만족스럽고 기쁨을 주는 대인관계의 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