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9 21:00본문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hwp
때문에 국악의 입장에서도 그 기원에 대하여 논의되고 있지만 국문학계에서도 장르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잡가 12곡을 ‘12잡가’라는 이름으로 한데 묶어 취급한 것은 장사훈의 『국악개요』(1961)에 보인다. .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는 가사의 하위범주로, 김문기 김문기,『서민가사연구』,형설출판사,1982.
이에 본 발제지에서는 조선영이 제시한 열 두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955년에 처음 간행되었고, 1956년과 1959년에 증보된 이창배의 『가요집성』에도 <유산가>, <적벽가> 등을 <풍등가>,<금강산타령>,<토끼화상>,<범벅타령>,<변강쇠타령>,<장기타령>과 더불어 「경기 가요부」에 편집하고 있다 20세기 경기 잡가의 전승과정
설명
.





.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은 유행가로, 조윤제 조윤제, 『조선시가의 연구』, 을유文化사, 1948.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는 민요로 보고 있는데, 1980년대 이후에는 모두 가사의 범위 내에서 설명(說明)하고 있다
잡가는 가창을 전제로 한 작가, 년대 미상의 가사이다.
등은 독립된 장르로, 이병기 이병기 백철, 『국문학전사』, 신구文化사, 1963.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 정재호 정재호, 「잡가고」, 『민족文化연구』 6, 고려대 민족文化연구소, 1972.
잡가는 곡명인 동시에 시형을 지칭한다. 또 고미숙 고미숙,「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창작과 비평』1995.
이에 조선영 조선영,「십이잡가(일명 긴잡가)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잡가라는 명칭은 비교적 일찍부터 여러 문헌에 보인다. 그 이유는 잡가와 가사의 분류 자체가 곡조에 의한 것인지 문학으로서의 구분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다. 잡가는 청구영언 가곡원류 등이 시조집에 가사와 섞여 수록되어 있으면서 가사로 취급되었고, 1900년대 초에 이르러서 발간된 잡가집 속에 다량의 잡가가 수록되어 있다 이로 보면 잡가와 가사의 구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혼동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을 놓고 학계에서는 많은 논의가 계속 되어 왔지만, 뚜렷한 결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hwp( 59 )
순서
십이잡가 연구 - 형성과정 문학적 성격 특징 문형의 특징 세계관
Ⅱ. 12잡가의 형성과정
은 경기지방에서 널리 유포되어 전하여 오는 십이잡가, 일명 긴잡가라 불리우는 열 두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잡가가 판소리나 ㅏ사 등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어 현행 경기 잡가나 서도잡가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