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5:53본문
Download :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docx
정치적인 표현, 패러디 등을 목적으로 한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권 침해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된다. 특히 교육, 연구, 비평, 비판, 취미 등 비영리적 목적을 위해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이 저작권법에 의해서 제한 받아서는 안된다된다. 비영리적 목적은 말 그대로 직접적인 영업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모든 범위를 포함하여야 한다.
.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설명
1. 공적정보 및 정보공유 운동의 공적 지원
.
순서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4. 표현의 자유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저작권에 의해 표현의 자유가 제약되어서는 안된다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영리적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해 저작권자의 이익이 침해받더라도 이에 대한 이용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된다. 예를 들어, 안티포스코 홈페이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Download :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docx( 97 )
국가는 공적정보의 생산과 정보공유에 입각한 市民사회의 자율적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도서관에서 도서 및 문헌 등의 on-line 전송을 제한한 저작권법(제28조 2항, 시행령 제3조)은 즉각 개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국가의 지원을 받는 국립 대학 및 연구기관 등에서 생산된 지식, 정보가 특정 기업의 지적재산권으로 귀속되어서는 안된다된다. 또한 도서관에서는 관내에서뿐만 아니라, on-line 상으로도 도서 및 문헌의 내용을 자유롭게 검색, 복사(또는 복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인터넷(Internet)과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와 인권문제
2. 공적정보에 대한 접근권
3. 저작물의 공정이용
다. 또한 컴퓨터 운영체제 및 워드 프로세서와 같이 공공성이 강한 호로그램의 경우, 그누/리눅스 시스템 등의 자유 소프트웨어가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국가가 그 개발 및 이용을 지원해야 한다.
공공정보 및 학술, 의료, 교육, 법률, 공공의 이익과 관계된 기업정보, 보편적 컴퓨터 호로그램 등 공적인 성격이 강한 정보는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에 의해서 그 접근과 이용에 제한이 있어서는 안된다된다. 현재 저작권법의 개정 추세는 공정이용(fair use)의 범위를 축소하여 저작권 소유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따 그러나 이는 오히려 최근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저작물에 대한 접근권(또는 이용권) 확대 및 2차 저작물 생산의 용이성을 제한하여, 정보의 독점을 낳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과 문화에 대한 혜택마저도 소수에게 독점시킬 우려가 있따 따라서 현행 저작권법은 공정 이용의 범위를 대폭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 공적 정보의 목록 및 주요 내용을 누구나 접근 가능한 공공망에 올려놓음으로써,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詩) 동호회 같은 비영리 공동체 내에서는 공동체의 활동을 위해 저작물(이 경우에는 시)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