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kr [REPORT] 시조의 서술구조 > cabincrew1 | cabincrew.kr report

[REPORT] 시조의 서술구조 > cabincrew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1

[REPORT] 시조의 서술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7:08

본문




Download : 시조의 서술구조.hwp




그런데 이 세 가지 특징 가운데서 3장을 제외한 ‘4보격, 3 ․ 4음절’은 시조만의 특색이 아니라 모든 운문이 두루 지닌 공통적 특질이라는 점에서 시조의 特性으로 說明(설명) 되기에 부적당하다. 김종택, 「의미구조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 대구교대논문집 제 7집, 대구교육대학, 1972,



순서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설명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2153_01_.jpg 시조의 서술구조-2153_02_.jpg 시조의 서술구조-2153_03_.jpg 시조의 서술구조-2153_04_.jpg 시조의 서술구조-2153_05_.jpg

시조의 서술구조
다. 따라서 시조의 구조적 특징은 3장 형식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형태적 고찰만으로는 3장 형식의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시조의 구조적 특징은 ‘3장, 4보격, 3 ․ 4음절’의 세 가지로 說明(설명) 되어 왔다.
시조의 형식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외현적 형태에 국한되어 왔다.
시조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낱말과 낱말이 만나 의미를 이루고,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장들이 구조를 이루면서 어울려 새로운 의미의 세계를 창출하게 된다.



Ⅱ. 본론

시조의 서술구조




時調의 初 ·中章은 漢詩의 起, 承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終章(漢詩의 結句)의 表現을 좀 더 效果的으로 할 수 있게 하는 感覺的인 起辭요, 時調의 意味는 오로지 落句(終章 첫句)를 除外한 終章의 後半에 있음을 알게 되는데, 이것이 곧 絶句의 結句에 해당하는 것이다.
시조의 서술구조

.

시조의 서술구조
시조의 서술구조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 4단구조론

시조의 서술구조



절구
김종택은 시조의 발생에 관한 언급에서 中國의 한시나 불가의 모방 내지 영향 관계를 부정하면서도 그 의미구조에 있어서는 기(起), 승(承), 전(轉), 결(結)의 4단구조로 분석하고 있다 즉, 개별적 언어 차이에도 불구하고 시조와 절구체 한시는 인간이 가진 의미표현구조상의 보편성으로 의미구조상 유사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구조란 한 작품의 의미를 드러내는 총체적인 체계를 말한다. 그러므로 시조의 3장 형식이 지니는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면적 자질에 해당하는 의미 구조의 분석이 필요하다. 즉 時調의 初場은 絶句의 起句에 中章은 承句에, 結句 첫 句는 轉句에, 그 나머지가 漢詩의 結句에 해당한다. 즉, 구조는 내용과 형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문학 작품의 각 부분이 상호 관련된 총체로서 전체를 이루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1. 논리적 의미구조

Download : 시조의 서술구조.hwp( 42 )


시조의 서술구조

그래서 본 발제지에서는 시조의 형식구조보다는 의미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 연구자들의 여러 opin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시조의 각 장은 서로 무의미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의미 구조를 이루면서 연결되어 한 편의 시조를 이룬다. 시조와 절구체 한시의 의미구조에 있어서의 유사성에 대해서 언급한 바는 아래와 같다.
전체 19,24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