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感想文]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3 17:02본문
Download : [독후감]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hwp
보통 서양 고전의 경우나 우리나라 고전의 경우 원문이 먼저 나오고 그 뒤를 이어 해석이 나오는데 반해 이 ‘꿀벌의 우화’는 먼저 시대적 배경이 나오고 맨더빌의 …(省略)
Download : [독후감]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hwp( 53 )
순서
다. 하지만 맨더빌은 미덕과 악덕을 가르는 오랜 기준을 무너뜨려 애덤 스미스와 칸트 등이 시장경제 市民사회 시대에 맞는 도덕을 새로 고민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게 해주었다.
과연 ‘꿀벌의 우화’는 어떤 책일까? ‘꿀벌의 우화’는 기존의 고전의 번역서와 그 구성이 다르다. 맨더빌은 그동안의 낡은 도덕체계를 깨부순 사람이며, 이 책을 통해 새로운 도덕체계가 나올 수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讀書感想文]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
[독후감]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 , [독후감]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
[讀書感想文] `꿀벌의 우화`을 보고[버나드 맨더빌 저]
[독후감],`꿀벌의,우화`을,보고[버나드,맨더빌,저],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독후감]%20`꿀벌의%20우화`을%20보고[버나드%20맨더빌%20저]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60%EA%BF%80%EB%B2%8C%EC%9D%98%20%EC%9A%B0%ED%99%94%60%EC%9D%84%20%EB%B3%B4%EA%B3%A0%5B%EB%B2%84%EB%82%98%EB%93%9C%20%EB%A7%A8%EB%8D%94%EB%B9%8C%20%EC%A0%80%5D_hwp_01.gif)
![[독후감]%20`꿀벌의%20우화`을%20보고[버나드%20맨더빌%20저]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60%EA%BF%80%EB%B2%8C%EC%9D%98%20%EC%9A%B0%ED%99%94%60%EC%9D%84%20%EB%B3%B4%EA%B3%A0%5B%EB%B2%84%EB%82%98%EB%93%9C%20%EB%A7%A8%EB%8D%94%EB%B9%8C%20%EC%A0%80%5D_hwp_02.gif)
![[독후감]%20`꿀벌의%20우화`을%20보고[버나드%20맨더빌%20저]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60%EA%BF%80%EB%B2%8C%EC%9D%98%20%EC%9A%B0%ED%99%94%60%EC%9D%84%20%EB%B3%B4%EA%B3%A0%5B%EB%B2%84%EB%82%98%EB%93%9C%20%EB%A7%A8%EB%8D%94%EB%B9%8C%20%EC%A0%80%5D_hwp_03.gif)
![[독후감]%20`꿀벌의%20우화`을%20보고[버나드%20맨더빌%20저]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60%EA%BF%80%EB%B2%8C%EC%9D%98%20%EC%9A%B0%ED%99%94%60%EC%9D%84%20%EB%B3%B4%EA%B3%A0%5B%EB%B2%84%EB%82%98%EB%93%9C%20%EB%A7%A8%EB%8D%94%EB%B9%8C%20%EC%A0%80%5D_hwp_04.gif)
설명
꿀벌의 우화 ? 버나드 맨더빌
이 책을 집었을 때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 경제사상에 影響을 준 고전이라는 문구가 눈에 가장 들어왔다. 과연 어떤 책이기에 애덤 스미스의 사상에 影響을 주었을 까라는 호기심과 과연 어떤 내용이 있을 지라는 궁금증과 함께 이 책을 펼쳐 들었다. 사람들은 비판하기도 하고 그를 고발하기도 하며 그가 쓴 ‘꿀벌의 우화’를 불사 질렀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학에서 위대한 자리를 차리하고 있는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에 먼저 影響을 준 고전이라는 문구에 눈이 제일 먼저 갔다. 애덤 스미스가 누구인가. 그는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며 ‘국부의 성격과 요인들에 관한 연구’ 즉 줄여서 ‘국부론’의 저자이다.
그가 쓴 ‘꿀벌의 우화’는 지금으로부터 3백 년 전,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을 하며 큰돈을 벌면서 돈맛에 빠져들던 영국 상업사회에 낡은 도덕 타령이나 일삼고 있던 사람들에게 정면으로 들이받았다. 이 기념비적인 ‘국부론’은 1776년 출판된 이후 지금까지 경제학의 교과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제위기가 빠질 때마다 자주 인용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버나드 맨더빌은 악덕이라는 욕심이야말로 경제를 살리는 원동력이며, 사치는 생산을 늘리고 일자리를 만들어주어 잘살게 만든다고 주장을 하여 당시 금욕과 이타심을 미덕으로 삼고 있었던 중세 기독교 도덕이 지배하던 영국사회를 발칵 뒤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