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심리학 A+ 에세이 - ‘허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2 22:39본문
Download : 허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hwp
티브이데일리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397344200683796002
(1) 주요 카테고리별 분석
Ⅰ. 서론 : ‘허언증 갤러리’의 인기
문용린 외, 「한국인의 거짓말 유형과 정당화 양식 연구」, 人間發達硏究, Vol15 No.3, 2008.
동아닷컴 http://news.donga.com/3/all/20160429/77844751/1





기존의 연구들 중에는, 허언증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작성자들의 거짓말 센스 내지는 허언 능력에 감탄하기도 한다.
Download : 허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hwp( 93 )
이언 레슬리, 『타고난 거짓말쟁이들』, 김옥진 역, 북로드, 2012.
A+ 성적을 받은, 문화콘텐츠학과 전공 과목인 <디지털 심리학> 에서 작성했던 기말 에세이입니다. 이때는 게시 글의 내용분석을 중점으로 한다.
김충식, 「연구논문 : 거짓말 및 자백의 심리分析에 관한 고찰」, 한남법학연구, Vol2 No.1, 2014.
안미효,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다. 저작 당시, 인기가 좋던 ‘허언증 갤러리’(일명 ‘허갤’)를 소재로 하여, 커뮤니티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했습니다. 또한 그런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행동의 원인(原因)이 된 심리를 사이버 공간과 관련된 주요 심리학 개념(槪念)들을 토대로 분석할 것이다. 목차를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 참고 자료 1. 국내 논저 김광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김명선,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활동 특성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김종현, 「자기과시성향이 정보공유행위와 정보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5. 김충식, 「연구논문 : 거짓말 및 자백의 심리분석에 관한 고찰」, 한남법학연구, Vol2 No.1, 2014. 김현진, 「사이버 세계와 현실 세계에서 대학생들의 윤리 의식 비교」, 교육논총, Vol28, 2009. 류승하, 「사이버공간의 익명성과 그 대응방안 고찰 : 익명성의 역기능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문용린 외, 「한국인의 거짓말 유형과 정당화 양식 연구」, 人間發達硏究, Vol15 No.3, 2008. 문창앙, 『(본심에서 흑심까지) 거짓말 심리백서』, 하이파이브, 2006. 박창호, 「특집: 과시하는 한국 사회 ; 인터넷에서의 과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대비하여」, 사회이론, Vol.41, 2012. 서명숙, 「앙드레 말로와 공상 허언증」, 프랑스문화연구, Vol25, 2012. 안미효,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양진선, 「익명채팅에서 나타나는 비인격적 친밀성의 구조 분석 : 랜덤채팅어플 돛단배의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오원웅,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 20대 싸이월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이성식, 전신현,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2009. 이용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객충성도와 익명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2. 정유경, 「인터넷 토론문화 개선을 위한 익명제와 실명제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번역서 이언 레슬리, 『타고난 거짓말쟁이들』, 김옥진 역, 북로드, 2012. 클라우디아 마이어, 『거짓말의 딜레마 = 거짓말, 기만, 사기, 속임수의 심리학』, 조경수 역, 열대림, 2008. 패트리샤 월리스, 『인터넷 심리학』, 황상민 역, 에코리브르, 2001. 3. 기타 뉴스핌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동아닷컴 http://news.donga.com/3/all/20160429/77844751/1 대구신문 http://www.idaegu.co.kr/news.php?code=op03&mode=view&num=196773 세계일보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2/10/20160210001482.html?OutUrl=naver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22408252421356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view/2016022916592846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83%81%ED%97%88%EC%96%B8%EC%A6%9D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72050800504737011 주간경향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id=201602021527051&pt=nv 주간동아 http://weekly.donga.com/3/all/11/533819/1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058361 티브이데일리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397344200683796002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327390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http://www.huffingtonpost.kr/2016/07/20/story_n_11101168.html MK Post http://post.mk.co.kr/archives/25277
(2) ‘허갤’의 콘텐츠
이성식, 전신현,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2009.
-------------
순서
1. 국내 논저
디지털 심리학 A+ 에세이 - ‘허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자 심리 分析
김종현, 「자기과시성향이 정보공유행위와 정보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分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5.
~ 이렇게 사람들은 ‘허언증 갤러리’에 올라온 글들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게시된 글들 중에서 특히나 재밌는 것들을 모아 ‘레전드’, 혹은 ‘허언증 갤러리 레전드’라고 부르며, 그것들을 묶어서 다시 올리기도 하고 공유하기도 한다.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view/20160229165928463
참고 자료
심리학,디지털 심리학,허언증,허언증 갤러리,심리 분석
Ⅱ. 본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김광호, 「온 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설명
2. 번역서
대구신문 http://www.idaegu.co.kr/news.php?code=op03&mode=view&num=196773
3. 기타
Ⅲ. 結論(결론) : ‘허언증 갤러리’의 인기와 한국 사회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2) 통합적 심리기제 분석
저작 당시, 인기가 좋던 ‘허언증 갤러리’(일명 ‘허갤’)를 소재로 하여, 커뮤니티 사용자의 심리를 分析했습니다. 그리고 심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 상황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해볼 것이다. 보통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에 대한 연구가 많고(양진선 2016, 김광호 2013, 정유경 2007, 류승하 2005, 이용림 2002 등), 한 사이트를 중심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에 대한 연구나(오원웅, 2004) sns를 통한 자기과시성향연구(김종현 2015) 등과 같은 연구들이 주를 이룬다. 뛰어난 아이디어나 능청스러움에 감탄하는 것이다. 특히 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와 관련 )
2. ‘허언증 갤러리’ 사용자 심리 분석
목차를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MK Post http://post.mk.co.kr/archives/25277
뉴스핌 http://www.hankookilbo.com/v/03a0486d39c14696b4f2edd82bed4a8f
정유경, 「인터넷 토론문화 改善을 위한 익명제와 실명제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058361
패트리샤 월리스, 『인터넷 심리학』, 황상민 역, 에코리브르, 2001.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http://www.huffingtonpost.kr/2016/07/20/story_n_11101168.html
세계일보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2/10/20160210001482.html?OutUrl=naver
박창호, 「특집: 과시하는 한국 사회 ; 인터넷에서의 과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대비하여」, 사회theory(이론), Vol.41, 2012.
클라우디아 마이어, 『거짓말의 딜레마 = 거짓말, 기만, 사기, 속임수의 심리학』, 조경수 역, 열대림, 2008.
문창앙, 『(본심에서 흑심까지) 거짓말 심리백서』, 하이파이브, 2006.
1. ‘허언증 갤러리’ 분석
오원웅,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 20대 싸이월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83%81%ED%97%88%EC%96%B8%EC%A6%9D
김현진, 「사이버 세계와 현실 세계에서 대학생들의 윤리 의식 비교」, 교육논총, Vol28, 2009.
김명선,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활동 characteristic(특성)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허갤’내의 ‘레전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分析하며 논의를 전개하였습니다. 특히 커뮤니티 내 콘텐츠를 파악할 때에는 소위 ‘레전드’라 칭해지는 인기 글들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하지만 이 연구도 작가 ‘앙드레 말로’와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문학적 관점’이 주를 이루고 있다 더구나 ‘허언증 갤러리’와 같은 허언증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는 없다. 특히 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와 관련 ) ‘허갤’내의 ‘레전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분석하며 논의를 전개하였습니다. 이런 글들을 보며 사람들은 재미있어한다. ( 과목이 ‘디지털 심리학’이다 보니, 사이버 공간과 관련된 주요 심리학 concept(개념)들을 토대로 分析을 진행한 것이 주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그 만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거나 즐거워했다는 뜻이고, 그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내재된 바를 파악해볼 수 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주간경향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id=201602021527051&pt=nv
류승하, 「사이버공간의 익명성과 그 대응방법 고찰 : 익명성의 역기능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주간동아 http://weekly.donga.com/3/all/11/533819/1
(1) ‘허갤’의 개념(槪念)과 特性(특성)
그렇다면 ‘허언증 갤러리’에 게시된 글들을 단순히 재미있어서 보는 사람들 외에 그 갤러리 게시판을 직접 이용하면서 적극적으로 글을 올리는 사람들, 즉 적극적으로 거짓말을 만들어 허언 증을 과시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일까? ‘허언증 갤러리’라는 Internet 공간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이용하는 배경은 무엇일까?
3. ‘허언증 갤러리’ 사용자 심리 분석 결과와 의미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72050800504737011
양진선, 「익명채팅에서 나타나는 비인격적 친밀성의 구조 分析 : 랜덤채팅어플 돛단배의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시대적으로 인기가 있고 effect(영향) 력을 행사하는 사이버 공간상의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特性(특성)·심리를 분석하는 것은, 그 당대의 사회를 읽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허언증 갤러리’커뮤니티의 인기 현상에 대해 그것의 개념(槪念)과 特性(특성)을 분석하고, 그 커뮤니티 안의 내용물들, 즉 콘텐츠를 파악해볼 것이다. <앙드레 말로와 공상 허언증(서명숙 2012)>정도만 있을 뿐이다. 특히 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와 관련된 것들을 중점으로 한다. ( 과목이 ‘디지털 심리학’이다 보니, 사이버 공간과 관련된 주요 심리학 개념들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한 것이 주 내용입니다. 위와 같은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327390
이용림, 「온 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객충성도와 익명성간의 상관관계 分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2.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22408252421356
---------------------------------------------
서명숙, 「앙드레 말로와 공상 허언증」, 프랑스문화연구, Vol25, 2012.
A+ 성적을 받은, 문화콘텐츠학과 전공 과목인 <디지털 심리학> 에서 작성했던 기말 에세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