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book report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13 08:22본문
Download : [감상문] 독후감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doc
우리는 우리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는다. 2-6원리는 무엇인가? 상대방을 중요하게, 가치있게 여기라는 것이다.
그렇다.
총 4개의 큰 단원으로 나눠져 있는 이 책은 여러가지 방법론들을 제시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2단원의 여섯번째 원리가 책 전체의 주제를 대변하고 있다아 나머지 원리들은 2-6원리의 실행方案들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비난이나 비평은 아무리 옳은 말이라도 거부反應(반응)과 방어의식을 낳기 마련이다. 또한 만났을 때 진정으로 기뻐하며 반길 것이고, 미소를 지을 것이고, 이야기는 진지하게 들어줄 것이고(경청),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는 등 당신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사실이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대방을 존중히 여긴다면, 함부로 비난하거나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지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책을 한장한장 읽어가면서 이 책에 말하는 `기술`이라는 것이 그저 잡학사전이나 기계적인 어떤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어떠한지 보여주며 그 본성에 호소하여 사람들에게 상처주지 않고 대화하고 의욕을 일으키는 방법을 그렇게 표현한 것 뿐이었다.
Download : [감상문] 독후감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doc( 93 )
설명
순서
[report] book report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레포트/감상서평
[report] book report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감상문] 독후감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 [감상문] 독후감 - 카네기의 인간관계론감상서평레포트 , 감상문 독후감 카네기 인간관계론
![[감상문]%20독후감%20-%20카네기의%20인간관계론_doc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90%EC%83%81%EB%AC%B8%5D%20%EB%8F%85%ED%9B%84%EA%B0%90%20-%20%EC%B9%B4%EB%84%A4%EA%B8%B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84%EB%A1%A0_doc_01.gif)
![[감상문]%20독후감%20-%20카네기의%20인간관계론_doc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90%EC%83%81%EB%AC%B8%5D%20%EB%8F%85%ED%9B%84%EA%B0%90%20-%20%EC%B9%B4%EB%84%A4%EA%B8%B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84%EB%A1%A0_doc_02.gif)
![[감상문]%20독후감%20-%20카네기의%20인간관계론_doc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90%EC%83%81%EB%AC%B8%5D%20%EB%8F%85%ED%9B%84%EA%B0%90%20-%20%EC%B9%B4%EB%84%A4%EA%B8%B0%EC%9D%98%20%EC%9D%B8%EA%B0%84%EA%B4%80%EA%B3%84%EB%A1%A0_doc_03.gif)
감상문,독후감,카네기,인간관계론,감상서평,레포트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처음 목차를 읽었을 때에는 마음에 들지 않았다. 사람을 다루는 기본기술이라느니, 호감을 사는 6가지 방법이라느니..
무슨 약장수 같은 소리들만 늘어놓은 책이 아닐까 의심도 되었다.
그래서 맨 첫장부터가 비난/비평하지 말라는 것으로부터 처음 한다.
우리는 믿음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놀라울 만큼 경솔하지만, 만일 누군가 우리의 믿음을 뺏앗아 가려고 할 때에는 그 믿음에 대하여 쓸데없이 집착하게 된다 우리에게 소중한 것은 그 생각 자체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전받는 우리의 자존심이다. 우리는 자신을 소중하게 여겨준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다.
전체적으로 명언이지 않는가. 우리는 누군가의 비난/비평 대상을 자기자신에게로 향한 공격으로 보는 경…(생략(省略))
다. 건강한 인간관계의 기초에는 상대방을 진실로 존중히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