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kr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 > cabincrew3 | cabincrew.kr report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 > cabincrew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3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4 04:12

본문




Download :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hwp




(<표 21> 참고)
ELS의 상장후 거래실적은 175백만원으로 미미하였다. 굿모닝신한증권과 대우증권은 전혀 상장을 고려치 않았다.105632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설명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1.gif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2.gif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3.gif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4.gif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5.gif 신종%20유가증권%20ELS(Equity-Linked%20Securities)_hwp_06.gif

105632 ,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



Download : 신종 유가증권 ELS(Equity-Linked Securities).hwp( 73 )






Ⅰ. 머리말
Ⅱ. ELS(Equity-Linked Securities)의 정의(定義)
1. ELS, ELN 및 ELI
2. ELS(Equity-Linked Securities)의 정의(定義)
Ⅲ. ELS 도입 및 제도정비
1. 도입배경
2. 제도정비 3. 상장제도 정비
Ⅳ. ELS의 국내발행 present condition
1. ELS 이색옵션의 주요 유형
2. 국내발행 present condition
3. 증권사별 매출 present condition
4. 상장 및 매매 present condition
Ⅴ. 맺음말

4. ELS의 상장 및 매매present condition

LG투자증권 ELS 5-1회가 4월9일 ELS로서는 최초로 상장된 이래 현재까지 17종목, 6,761억원이 증권거래소 시장에 상장되었다.
ELS는 운용성과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는 수익증권과는 달리 증권의 발행조건에서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만기상환금액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이므로 수익증권과 같은 환매(일종의 중도상환청구권)의 …(skip)
다. 전체 총 매출금액 1조 341억중 상장금액은 6,761억원으로 65.4%가 상장되었다. 다만, 상장채권은 발행기업 및 투자자들 모두에게 이점 있어 현재 발행채권의 대부분이 상장되고 있다아
사모발행 ELS의 경우 유가증권 상장규정상 상장자체가 불허되므로 예외로 하고, 공모로 발행된 ELS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 동원증권이 발행한 9종목중 8종목이 상장되었다. 이는 만기가 단기인 사유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만기까지 보유하는 Buy&Hold적인 特性(특성) 때문일 것으로 파악된다
5. 국내 ELS의 특징

ELS의 조달자금 운용방법은 보장된 원금의 지급을 위하여 조달자금의 상당부분을 국공채 또는 우량 등급채권으로 운용하고 일부는 기초자산과 관련되는 선물·옵션 등의 파생상품 및 기초자산을 구성하는 주식의 매매를 위한 재원으로 사용한다. 나머지 1종목은 상장심사요건중 매출의 부진으로 인하여 발행총액요건에 미달하여 상장이 불허되었다. LG투자증권의 경우 공모발행 9종목중 6종목을 상장시켰으며, 삼성증권은 9종목 가운데 3종목만을 상장시켰다. 통상적으로 ELS의 상장은 발행일 상장주의(발행일=상장일)를 채택하고 있으며, 증권거래소에서는 ELS의 상장은 채권의 규정을 준용하여 상장 및 매매를 하고 있다아 또한 상장은 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채권의 상장여부는 발행기업의 자발적인 결정에 의하고 있으며, 발행기업이 발행채권을 상장시키지 않더라도 제도적인 불이익은 없다.
전체 19,2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