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를 찾아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7 10:03본문
Download : 오아시스를 찾아서.hwp
그리하여 작가를 분단 체험세대의 작가, 분단 미 체험 세대의 작가로 가르기도 했다.
이창동은 1983년 중편 「전리」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됨으로써 문단에 처음 얼굴을 비쳤다. 그만큼 이창동이 다루고 있는 문제들은 복잡다기한 것이고 여러 실타래들이 얽히고 설 켜서 쉽게 풀려지지 않는,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심한 몸부림들이라 할 수 있따
먼저 그는 조국이 처한 가장 큰 현실적 문제인 분단에 상대하여 날을 세우고 있따 분단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창동의 소설들은 「친기」와 「소지」, 그리고 「용천뱅이」가 있따 이 작품들은 한 가족의 운명을 통해 분단의 문제를 파헤쳐 들어가는데, 1980년대 뜨겁게 달아올랐던 현실변혁 및 분단의 논리와 어느 정도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따 우리 사회에서 금기 시 되던 분단의 문제가 4·19를 기점으로 수면 위로 떠오른 이후 우리 소설의 단골 주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오아시스를,찾아서,감상서평,레포트
오아시스를 찾아서
Download : 오아시스를 찾아서.hwp( 52 )
순서
설명
1. 소설가 이창동
(1) 분단된 조국 - 이창동, 두 눈을 지긋이 감다.오아시스를찾아서 , 오아시스를 찾아서감상서평레포트 , 오아시스를 찾아서
레포트/감상서평
오아시스를 찾아서라는 영화를 보고 쓴 영화 감상문(report)입니다.
오아시스를찾아서






다. 등단 이후 현시점까지의 기간을 고려하면 이창동은 그리 많은 작품을 창작해 왔다고는 할 수 없다. 이창동은 비록 많은 양의 작품을 창작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내밀한 작품의 질이 양의 부족함을 충분히 메우고 있는 작가라 할 수 있따
이창동은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점(問題點)들을 여러 시각에서 예리하게 짚어 내고 있따 그러한 문제점(問題點)들은 그리 간단한 것들이 아니며 꾸준히 그리고 심도 있게 검토하고 改善(개선) 해 나가야 할 것들이다.
이창동의 경우는 분단 미 체험 세대에 해당된다 이는 그의 작품에서 분단을 직접 체험한 세대를 작품의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다는…(To be continued )
오아시스를 찾아서라는 영화를 보고 쓴 영화감상문입니다. 그러나 작품을 많이 써내었다고 해서 작가의 작품세계나 작품의 질이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이창동은 꾸준히 창작활동을 계속하여 소설집 『소지』(문학과지성사, 1987)와 『전리』(고려원, 1987) 그리고 『녹천에는 똥이 많다』(문학과지성사, 1992)를 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