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 프랑스 초등교원 교육 제도에 비추어 본 우리 나라 초등교원 교육 제도 발전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6:33
본문
Download : 학교지도성 연구 국.hwp
이 연구 중에는 Noha가 지적한 자국우월주의 오류가 아니라 반대로 자국열등주의 오류를 범한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 우리가 생각한 것과 달리 선진국의 제도도 많은 drawback(걸점)을 가지고 있고, 외국의 학자들도 자기 나라의 제도에 대해 극히 비판적인 경우가 많다. 프랑스와 日本 은 연구자가 직접 경험하지 못했고 한정된 범위의 자료(data)를 사용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II. 초등교원 교육 제도 비교
Download : 학교지도성 연구 국.hwp( 85 )
설명
미국, 일본, 프랑스 초등교원 교육 제도에 비추어 본 우리 나라 초등교원 교육 제도 발전 방향
학교지도성 초등교원제도 공교육 / (교육)
순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국제비교연구 중에는 외국 제도의 강점을 추출하여 이를 우리 나라에 소개할 목적으로 행해졌던 것이 상당수 있다. Noha(1986: 159-160)에 따르면 다른 나라의 교육 제도나 이념, 그리고 경험을 비교 분석하고자 할 때 오류를 줄이려면 외국 사례가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주의 깊은 분석이 필요하고, 외국 제도를 잘못 이해하는 오류를 경계해야 하며, 자국우월주의도 조심해야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학교지도성 초등교원제도 공교육
학교지도성 초등교원제도 공교육 / (교육)
이 연구를 위해서 이미 수행된 해당 국가 교원 교육 제도에 대한 연구물과 함께 현지인 혹은 현지에서 경험한 사람들을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III. 다른 나라의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I. 서론
다. 외국의 실정을 잘 모르는 채 문헌에 의해서만 비교 분석을 할 경우 이러한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 논문은 우리 나라 교원 교육 제도와 운영에 가장 큰 effect을 미쳐온 미국, 유럽에서 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프랑스, 그리고 우리 나라 초등교원 교육 제도의 뿌리를 이루었던 日本 의 현행 제도가 드러내고 있는 강점과 약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고, 나아가 우리의 상황을 고려하여 외국 제도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데 역점을 둔다.
II. 초등교원 교육 제도 비교
초등교원 교육 제도와 관련하여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외국 교원 교육기관의 국·사립 여부, 교원 교육 프로그램 통합 여부, 일반종합대학과의 통합 여부, 교육기간 (대학원 수준에서 교육시키고 있는지 아니면 학부 수준에서 교육시키고 있
V. conclusion 외국 제도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제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 연구는 외국 제도의 강점뿐만 아니라 drawback(걸점)을 동시에 파악하여 우리 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외국 교원 교육 제도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은 당면 문제의 차이, 교원 교육 프로그램 통합 문제, 교원 교육기관 독립 문제, 대학원 수준으로의 상향 여부, 교원 교육 개방화 여부, 그리고 직전 연수 제도 등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했다. 프랑스는 프랑스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교육학자가 제공해준 자료(data)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日本 의 경우는 2001년 12월 한국日本 교육학회가 주관한 한일교원정책비교 국제학술 심포지움에서 日本 학자가 발표한 논문과 당시 면담했던 내용을 중심 자료(data)로 삼았으며, 미국 사례는 그 동안 본인이 해온 연구 결과를 재정리하고 추가로 필요한 사항은 현지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해 자료(data)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