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8:33본문
Download :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hwp
그러나 그 것은 표면적인 것일 뿐, 심층적으로는 민간신앙의 주류 세력으로 여전히 지속되었다. 민간에서는 물론이고 궁중에서도 내면적으로는 불교를 숭상하고 외호하였다.
Download :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hwp( 15 )
7. conclusion(결론)
2.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성배경
이들 불교계 경기체가의 작품들은 숭유억불이 강행되던 조선 초기에 기화와 같은 친왕정 승려들이 절박했던 폐불적 상황에서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불교적 경기체가의 작자층과 향유층은 누구이며, 어떠한 배경에서 작품이 생성되었는지 알아보고,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그 작품에 반영된 불교적 사상에 마주향하여 도 알아보고자 한다. 함허당 기화는 선초 조정의 일방적인 척불정책의 와중에서 『현정론』과 『유석질의론』으로 정도전의 「불씨잡변」의 배불론에 대항하여 불교와 유교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유불일치론을 주장하면서 불교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이들 불교계 경기체가들은 찬불가적인 성격을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다. 그런데 불교계 경기체가의 5편 작품들은 한결같이 극락정토를 찬미한 정토신앙을 노래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명 미타신앙이라고도 불려지는 정토신앙은 대승불교의 근간으로서 극락왕생을 goal(목표) 로 하며, 삼국시대부터 역대 왕이나 귀족들과 밀접한 관력을 맺고 발전해 왔었다. 이와 같이 불교가 적극적인 궁중의 비호를 받던 시기에 포교의 강화수단으로 자연히 나타난 것이 바로 불교계 경기체가라 할 수 있다 포교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당시 궁중이나 민중들에게 유행하는 시가 형태가 그 수단으로 이용되기 마련인데 조선 초기에는 경기체가가 단연 시가의 주류를 이루었던 만큼 이 시대에 불교계 경기체가가 창작, 향유된 것은 당연한 이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기화를 제외하고 의상화상과 지은의 생애에 대한 전모는 불확실하다. 따라서 이들 불교계 경기체가는 모두 세종과 세조 때의 작품들로 추정할 수 있다
순서
6. 불경의 수용과 굴절양상
.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
2) 미타경찬
5) 기우목동가





3. 작자층 및 향유층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현재까지 전해지는 경기체가는 모두 24편으로 그 주된 작자층이나 향유층은 지난 시간에 살펴본 것과 같이 성리학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신진사대부들이었다. 김문기, 「『기우목동가」 연구」, 어문학 제 39집, 한국어문학회, 1980
불교계 경기체가가 유행되었던 조선시대 초기는 숭유억불 정책이 강력히 추진되던 시기였다. 따라서 ‘경기체가는 곧 유교’라는 생각을 갖기 쉬웠다. 다만 이들 작품들의 형식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서방가」가 정격인 점에서 변격인 기화의 작품보다 앞선 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목 차
조선 초기의 불교는 건국이념에 따라 숭유억불책이 강화됨으로써 위축된 것만은 사실이나 궁중의 신불(信佛)과 그 외호에 힘입어 불교는 민중 신앙으로 면면히 이어졌으며 특히 세종, 세조대에 선초 불교계는 일대 성시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세종, 세조 때에 불교가 궁중의 적극적인 외호와 지원을 받게 되자 이에 편성하여 불교의 포교활동은 더욱 활발히 전개되었으리라 짐작된다. 그리고 「기우목동가」는 세조 조의 지은이 지은 「적멸시중론」에 부기되어 짝을 이루는 경기체가이다. 하지만 전해지는 24편중 5편의 작품이 불교계 경기체가라는 사실을 되짚어 볼 때, 과연 불교계 경기체가의 작자층이나 향유층은 누구인지 그렇다면 불교계 경기체가가 형성된 배경은 어떠한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3) 안양찬
2.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성배경
3. 작자층 및 향유층
설명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목 차 1. 시작하면서 2.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성배경 3. 작자층 및 향유층 4. 개별작품 1) 서방가 2) 미타경찬 3) 안양찬 4) 미타찬 5) 기우목동가 5. 불교계 경기체가에 나타난 정토사상 6. 불경의 수용과 굴절양상 7. 결론
4) 미타찬
4. 개별작품
1. 처음 하면서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1) 서방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5. 불교계 경기체가에 나타난 정토사상
.
불교계 경기체가 - 형성배경 작자층 및 향유층 개별작품
불교계 경기체가는 의상화상의 「서방가」, 기화의 「미타찬」,「안양찬」,「미타경찬」, 지은의 「기우목동가」 등 모두 5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