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放通大(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9 11:51본문
Download :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hwp
① 起句(기구)에서 시상을 불러일으키고 ② 承句(승구)에서 이어받아 발전시키며
③ 轉句(전구)에서 change(변화)를 주었다가 ④ 結句(결구)에서 시상을 마무리 짓는다.
(1)근체시의 형식
▶글자 수에 따른 구분
- 한 구절의 글자수가 다섯 글자면 오언시(五言詩)이고, 일곱 글자이면 칠언시(七言詩).
▶ 기본 구성에 따른 구분
- 율격(律格)을 갖추고 있는 기본적인 시를 율시(律詩)라 하는데, 율시(律詩)는 구절의 수가 8구절(句節)로 이루어진 시를 말함.
- 절구(絶句)는 기본적인 율시(律詩)를 반으로 자른 4구절(句節)의 한시(漢詩)를 말함.
(2)시상의 전개방법
▶ 4단계식 기승전결법 : 한 수의 시의 시상을 4단계로 구성하는 방법이다.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
순서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편,국어국문학과,학년,한문고전강독,공통,한시를,국어국문,방송통신
설명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 ,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국어국문방송통신 , 방통대 한국의한시감상편 국어국문학과 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放通大(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
방송통신/국어국문
Download :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hwp( 69 )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1.gif)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2.gif)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3.gif)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4.gif)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5.gif)
![[방통대]한국의한시감상3편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0%A9%ED%86%B5%EB%8C%80%5D%ED%95%9C%EA%B5%AD%EC%9D%98%ED%95%9C%EC%8B%9C%EA%B0%90%EC%83%813%ED%8E%B8_hwp_06.gif)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되, 그것에 해당되는 작품을 한 편씩 골라 그것에 대한 감상을 함께 넣어서 하시오
1. 한시의 종류별 구분 및 성격
2. 李世民(이세민)의 한시【賦得含峰雲】- 오언시 감상
3. 林悌(임제)의【閨怨-無語別】- 오언시 감상
4. 李玉峯(이옥봉)의 【夢魂】- 칠언시 감상
1. 한시의 구분
1) 고체시
당(唐)나라 이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다.
ex) 정지상 ‘송인’
(기) 강변의 서경 - 서러움의 봄빛
(승) 이별의 전경 - 이별의 슬픔
(전) 이별의 한 - 대동강 물의 원망
(결) 이별의 정한 - 이별의 눈물
▶先景後情法(선경후정법) : 전구(기승)에서는 객관적 상황이나 정경을, 후구(전결)에서는 주관적 감상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2) 근체시
당(唐)나라 이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지 않다.
3.서정시와 서사시
1) 서정시
…(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