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kr 순자 철학 > cabincrew5 | cabincrew.kr report

순자 철학 > cabincrew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5

순자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9 22:10

본문




Download : 순자 철학.hwp




신창호저, 경인文化(culture) 사,『동양사상의 이해』, 2003, p55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서
.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
순자 철학-2685_01_.jpg 순자 철학-2685_02_.jpg 순자 철학-2685_03_.jpg




하늘의 운행에는 일정한 법도가 있다. 인간에게 일어나는 일들은 하늘의 의지가 아닌 인간의 행위라는 것이다. 그러기에 근본을 강하게 하고 절약하여 사용하면 하늘이 가난하게 할 수 없고, 기르고 비축하며 때에 맞추어 움직이면 하늘이 병들게 할 수 없다. 초목이 생장하는 것처럼 작용을 하지 않아도 완성되고, 사계절이 순환하는 것처럼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얻어진다. 그것은 요임금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걸임금 때문에 없어지는 것도 않는다.


설명
순자는 하늘을 인간과 분리(천인분리)시키려고 했고 이를 명료하게 인식하면 가장 완벽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면서도 독립적인 존재로 하늘과 대등해 졌다. 도를 닦아서 어긋남이 없게 하면 하늘은 화를 줄 수가 없다. 신창호저, 경인文化(culture) 사,『동양사상의 이해』, 2003, p54-55
.
.





순자 철학
순자는 자연 현상을 하늘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하늘과 땅의 운행 원리나 법칙은 사람의 행위와는 무관하다. 사람이 추위를 싫어한다고 해서 하늘이 겨울을 없애지는 않는다. 신창호저, 경인文化(culture) 사,『동양사상의 이해』, 2003, p56
2.인성론

Download : 순자 철학.hwp( 17 )


다. 이러한 것을 하늘의 일이라고 한다. 하늘로부터 아무런 지배도 받지 않는 독자적인 가치 체계를 지니게 된 것이다. 인간도 본래는 자연의 일부분으로 태어났다. 그리고 하늘의 작용은 일정한 불변의 법칙을 따른다. 사람들이 먼 거리를 싫어한다고 하여 땅이 그 넓음을 없애지는 않는다.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자
공자와 맹자로 이어지는 종통 유학은 하늘이 인간의 도덕적 권위를 제공하는 근원적인 것으로 보았다. 신창호저, 경인文化(culture) 사,『동양사상의 이해』, 2003, p55


순자 철학
하지만 순자는 하늘의 자연성을 말했다. 하늘은 사람의 위에서 자연과 함께 이 세상을 지배하는 섭리이고 인간과 관계되는 문제는 늘 천명과의 관계 속에서 말해졌다. 순자는 인간이 하늘에 순응하지 않아야 하고 자연과 인간을 분리시키고 하늘에 의지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신창호저, 경인文化(culture) 사,『동양사상의 이해』, 2003, p56-57
이 말을 보면 하늘이 인간의 주재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늘에 있는 것 중에는 해와 달이 가장 중심이고 땅에 있는 것 중에는 물과 불이 가장 소중하며 물건 중에는 진주와 옥이 가장 귀중하고 사람에게는 예의가 가장 중요하다라고 하여 예의를 강조하게 된다 순자의 자연론은 인간의 이성적, 합리적인 정신을 가치롭게 여기면서 궤변이나 미신적 요소를 씻어 내었다.
전체 19,24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