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kr 국어 정서법 이야기 > cabincrew5 | cabincrew.kr report

국어 정서법 이야기 > cabincrew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5

국어 정서법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9 20:18

본문




Download : 국어 정서법 이야기.hwp





한자어인 ‘저’와 우리말인 ‘가락’이 합하여질 때, 사이시옷 규…(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국어정서법

Download : 국어 정서법 이야기.hwp( 11 )


,인문사회,레포트
국어 정서법 이야기
본 data(자료)는 국어의 정서법에 대해 요점한 리포트입니다.
(예) 십시일반(十匙一飯) : 열 술의 밥이 한 그릇의 밥이 된다
• 우리말에서는 ㄷ과 ㄹ이 자주 넘나드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술’의 ㄹ받침이 ㄷ으로 변한 것이다.



본 자료는 국어의 정서법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국어정서법 , 국어 정서법 이야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1.gif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2.gif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3.gif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4.gif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5.gif 국어%20정서법%20이야기_hwp_06.gif

1. 숟가락과 젓가락


1. 숟가락과 젓가락

Q. ‘숟가락’과 ‘젓가락’은 모두 음식을 먹는 데 사용하는 도구인데, 왜 받침이 다를까?
(1) 숟가락
• 숟가락의 ‘숟’은 ‘술 시(匙)’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
(예) ㄷ이 ㄹ으로 변하는 경우 : 걷다→걸으니, 걸어서, 걸어라, …
묻다→물으니, 물어서, 물어 보아라, …
ㄹ이 ㄷ으로 변하는 경우 : 설+달→섣달, 사흘+날→사흗날, 나흘+날→나흗날, 삼질+날→삼짇날, 바느질+고리→반짇고리, …
⇒ 한글맞춤법 제29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소리가 ‘ㄷ’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
(2) 젓가락
• 젓가락의 ‘젓’은 ‘젓가락 저(箸)’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체 19,24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