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政府의 남북화해정책과 정치커뮤니케이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9 16:05
본문
Download : 김대중 정부의 남북화해정책과 정치커뮤니케이션.hwp
야당과 언론은 보수적인 식자층과 함께 이를 비판해 왔다. 부자와 권력자만을 위한 시 민 적 권리는 허구라면서 모든 인민에게 평등하게…(省略)
설명
김대중 政府의 남북화해정책과 정치커뮤니케이션






김대중 정부는 식량 비료 및 경협으로 북한을 지원하고 정상회담과 공동선언까지 이끌어 내면서 북한내 정치범이나 주민의 성분분류와 그에 따른 차별제... , 김대중 정부의 남북화해정책과 정치커뮤니케이션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김대중 정부의 남북화해정책과 정치커뮤니케이션.hwp( 54 )
다. 민주체제에서는 자유보다는 평등을 더 중시해야 한다고 덧붙일 것이다. 북한의 독재체제 아래서 신음하는 주민들의 인권상황을 외면하면서 그 당국과 손잡으려 하는 것은 그 인권탄압을 방조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은 시 민 적 정치적 권리보다는 먹고 입고 자는 사회적 경제적 권리의 보장이 더 중요하다고 내세웠다. 그쪽에 그런 槪念이 없기 때문에 얘기가 안되는 것이다. 유엔의 인권A규약이다. 그것은 북한측에 따져 보았자 별 의미가 없다. 국가가 인민들의 의식주 생활을 책임지고 무상의료와 무상교육을 시행한다면서 자랑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김대중 政府는 식량 비료 및 경협으로 북한을 지원하고 정상회담과 공동선언까지 이끌어 내면서 북한내 정치범이나 주민의 성분분류와 그에 따른 차별제...
김대중 정부는 식량 비료 및 경협으로 북한을 지원하고 정상회담과 공동선언까지 이끌어 내면서 북한내 정치범이나 주민의 constituent 분류와 그에 따른 差別(차별) 제 등 인권문제에 마주향하여 는 일절 거론하지 않았다. 인권槪念에서도 북한측은 사상 신앙 언론 직업선택 거주이전 집회 결사의 자유를 뜻하는 시 민 적 정치적 권리에 마주향하여 는 언급하지 않는다.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는 처음부터 북한의 인권improvement(개선) 대안이 빠져 있다는 지적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북한 당국자들이나 관변학자들은 그 체제가 어느 나라보다도 실질적 인권이 보장된 민주체제라고 주장할 것이다. 유엔의 인권B규약의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