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15:45
본문
Download :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hwp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국한문본과 한문본의 내용 및 저작 연대에 관한 고찰」, 천천교대 논문집8, 1970.
설명
그러나 이러한 활발한 이본연구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이본들 중에서 판소리와 관련성을 지니는 작품이 존재하는 것에 관련되어는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가 1990년대 말에 와서야 이성권에 의해 이러한 characteristic(특성)이 주목되기 처음 했으며, 그는 가람본 「장화홍련전」이 지니는 판소리적 지향성을 규명하고자 한 바가 있따
, 「장화홍련전의 이본 고찰」, 춘천교대 논문집16, 1976.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장화홍련전」은 ‘계모형’가정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서혜은, 「장화홍련전 이본 계열의 성격과 독자의식」, 어문학97, 한국어문학회, 2007.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따라서 본 발표문에서는 「장화홍련전」이 어떠한 토대위에서 형성되었으며, 그 전파의 유형은 어떠했는지, 또 이 작품이 판소리적 성격을 띠면서 나타난 점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계모형 소설의 초기 형태를 잘 드러내주고 있으며 이후 많은 이본과 계모형 소설군에 해당되는 다양한 작품들을 파생시키고 있따 「장화홍련전」은 17세기 이후의 가족 사회사에 얽힌 당대 사회 의식의 한 국면을 전처 여식의 무참한 죽음을 통해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바 무능하고도 횡포한 가장 형상과 더불어 여성층의 비판적 의식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따





최근에는 이러한 이본군과 독자의식이 지니는 影響관계까지 밝히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Download :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hwp( 33 )
.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그 동안 「장화홍련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 작품의 여러 이본과 그에 얽힌 배경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1970년대에 김동기에 의해서 판소리본 「장화홍연가」가 학계에 紹介(소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장화홍련전」과 판소리와의 연관성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듯하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김기현, 「장화홍련전의 한 이본」, 어문논집14․15, 고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73.
순서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장화홍련전의 문헌학적 고찰과 판소리계 이본의 의의
.
다. 이를 통해 판소리적 지향성을 보이는 작품군이 지니는 의의는 무엇인지도 구명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