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제조 공정 및 공장 폐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4 12:13
본문
Download : 레포트(맥주공장폐수).hwp
4-9. UASB 공사실적
4-1. UASB 공법의 개요
3-2. 폐수의 오염물질 농도
4-5. 일반적인 혐기성 & 호기성처리의 장단점 비교
1. 맥주 제조업의 개요
2-2. 공정설명
4-6. UASB 공법과 일반적인 호기성 공법의 비교
4-3. 처리 공정도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맥주는 주세법상으로 맥아 및 HOP와 백미, 옥수수, 고량, 감자, 전분, 당질, 카라멜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과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켜 여과, 제성한 것을 말한다.
Download : 레포트(맥주공장폐수).hwp( 41 )
목차 1. 맥주 제조업의 개요
3-1. 폐수의 특성(特性)
4-4. 운전비 비교
맥주 제조 공정 및 공장 폐수
양조공정으로부터의 폐수는 맥아찌꺼기, 효모 등을 압착, 분리할 때의 세정수, 양조에 필요한 기구의 세정수 또는 병 등의 살균세정 폐수 등을 종합하여 폐수로서 배출된다 폐수발생량은 맥주 1㎘당 9~13㎥이며 BOD는 420~1200ppm 정도 된다 맥주제조에 있어서 부산물, 맥아찌꺼기, 효모찌꺼기, 효모 등은 건조시켜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부산물의 성상은 아래와 같다. 세정폐수 발생량은 원료보리 Ton당 약 0.86㎥이 발생한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와 국민소득의 증대에 주류에 대한 소비자의 성향이 점차 고급화 경향을 보이면서 맥주 소비량은 전체 주류가운데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4-2. UASB 공법의 특징
-7553_01_.gif)
-7553_02_.gif)
-7553_03_.gif)
-7553_04_.gif)
-7553_05_.gif)
다. 1970년대초 국민소득이 높지 않았을 때는 전체 주류 중 탁주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했고, 맥주의 비중은 겨우 6%에 지나지 않았다. 즉 원료보리를 정선, 세정하는 세정폐수와 물로 세척하여 맥아를 제조할 때의 폐수가 주 근원이다.
순서
3-1. 폐수의 특성(特性)
맥주 제조 공정 및 공장 폐수
4-7. UASB 공법과 타 혐기성 공법의 비교
맥주 제조 공정 및 공장 폐수
3. 맥주 제조 폐수의 특성(特性)
3. 맥주 제조 폐수의 특성(特性)
2. 맥주 제조공정
4. 폐수처리공정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실제 플랜트 : UASB)
4-10. 적용事例(사례)
맥주 제조 공정 및 공장 폐수
2-1. 맥주 제조공정
4-8. 적용 가능 분야
설명
맥주제조 공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원료 보리의 세정폐수와 맥아제조공정, 그리고 양조공정에서 나오는 폐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