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8 09:28
본문
Download : 잠재적 교육과정.hwp
교육과정의(定義) 영역에서는 의도한 학습 계획만을 교육과정으로 보는 것에서 한걸음 나아가 학생이 학교에서 가진 경험의 총체로 보는 관점이 등장했다. 교육과정의(定義) concept(개념)이 ‘계획된 것’에서 학생이 ‘경험한 것으로 확장됨에 따라 계획되지 않았으나 경험한 것을 concept(개념)화 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이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하여 시간, 질서, 청결과 같은 태도를 배운다는 것이다.
나. 잠재적 교육과정 理論의 한계
1.잠재적 교육과정
1960-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관점에 change(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학교 안에 존재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발견하게 하고 학교라는 곳을 새롭게 들여다 볼 수 있게 길을 열어 놓은 사회의 잠재적 기능에 대한 고찰은 바로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定義) concept(개념)을 이해하는 길잡이가 된다된다. 그러나 단편적이긴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잠재적 교육과정도 표면적 교육과정에 못지않게 정의(定義)적 측면, 즉 가치적 도덕적인 측면과 관련된 property(특성)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아 잠재적 교육과정은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4. 참고자료(資料)
가. 등장 배경
가. 등장 배경
나. 보울즈(Bowles)와 긴티스(Gintis)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다. 표면적 교육과정이라고 하는 또 하나의 교육과정이 학교 안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Download : 잠재적 교육과정.hwp( 80 )
가. 일리치(Illich)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2. 주요한 잠재적 교육과정 理論
가. 잠재적 교육과정 理論의 공헌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이론,
잠재적 교육과정
1.잠재적 교육과정
순서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定義) concept(개념)
나. 잠재적 교육과정의(定義) concept(개념)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하여 등장 배경 및 각종 이론,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한 공헌과 한계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교육 평가에 있어서도 계획된 목표(目標)의 성취 정도를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육의 결과로 학생에게 나타난 모든 산출,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잠재적 교육과정을 표시하는 용어는 많으며(숨은, 구조적인, 비公式(공식)적, 내현적, 비가시적, 내적, 비조직적, 기대되지 않은, 비형식적 등), 이것은 머튼(Merton)이 사회제도의 適應에 관련된 의도되지 않았던 결과를 잠재적 기능이라고 부른데 기인한다. 애플(Apple)의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하여 등장 배경 및 각종 理論(이론),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한 공헌과 한계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것으로서 중요하고도 비중이 큰 것은 표면적 교육과정이라는 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
3.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 공헌과 한계

전통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학교에서 ‘계획하거나 의도한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교육평가에 대한 관심은 학교에서 ‘의도한 목표(目標)를 얼마나 성취 했는가’를 측정(measurement)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