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8 23:22본문
Download :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hwp
따라서 한역대장경은 단순히 불교라는 특정 종교의 경전을 결집시킨 것에 국한해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거의 천년 이상의 시간을 거치면서 인도문화와 중국문화 곧 동서의 문화
.
순서
다. 삼장은 ‘세개의 광주리’라는 뜻으로 각각 經藏(Sutrapitaka), 律藏(Vinayapitaka), 論藏(Abhidarmapitaka)을 가리킨다.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대장경은 불교경전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 一切經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 불전을 결집할 때 나뭇잎에 새겨 각각 광주리에 나누어 보관하였기 때문에 삼장이라 하였으며, 이를 ‘貝葉經’이라고 하였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불교문화권에서 형성된 대장경의 종류에는 크게 팔리어대장경, 티벳대장경, 한역대장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Download :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hwp( 46 )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이 가운데 한역대장경은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 문헌의 총칭으로서 넓은 뜻으로는 중국․한국․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의 불교인들이 저술한 것도 포함한다.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설명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이, 의미, 배경
.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한역대장경 - 정의, 의미, 배경
경장은 부처님이 설한 법문을 모은 불교의 근본 교설이며, 율장은 부처님이 일상생활에서 범하기 쉬운 비도덕적인 행위를 경계하고 지켜야 할 규범을 정해 놓은계율이며, 논장은 부처님의 제자나 여러 보살들이 경을 해석하고 法相을 변론한 글을 모은 것이다. 그 일체경은 크게 세 분야로 구성되어 있기에 三藏(Tripitaka)라고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