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9 22:27본문
Download :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hwp
2. 향가의 배경사상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목 차 1. 향가의 개관 2. 향가의 배경사상 2.1. 주술·종교사상 2.2. 정치사상 3. 향가의 문학사적 가치 3.1. 우리말로 기록된 시가의 시작 3.2. 창작가요문학의 시원 3.3. 민족문학의 의식 확립 4. 향가 형식 4.1. 시형의 구분 4.2. 삼구육명의 해석
2. 향가의 배경사상
2.2. 정치사상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 균여전에 11수 고려 11대 문종 때 혁연정이 지은 <균여대사전기>에 실린 보현섭원가 11수로, 보현십종원가, 원왕가라고도 한다. 이것은 균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지은 것으로, ‘화엄경’의 보현십행원의 하나하나에 향가 한수씩을 적은 뒤 11장을 결론으로 붙인 것이다. 이 같은 내용에서 우리는 불교라는 고등종교가 민간신앙화 되어 향가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아 자연종교에 해당하는 민간신앙은 현세주의적이며, 기복신앙을 근저로 하기 때문일것이다
3.1. 우리말로 기록된 시가의 처음
설명
2.1. 주술·종교사상
4. 향가 형식
향가는 신라시대부터 고려조 중엽까지 불린 대표적인 고전시가로서, 현재 전하는 향가로는 삼국유사에 14수 모죽지랑가, 헌화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처용가, 서동요, 도천수관음자, 풍요, 원왕생가, 도솔가, 제망매가, 혜성가, 원가, 우적가
.
Download :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hwp( 24 )
① 내세주의사상
.
1) 주술·종교사상
다.
② 현세주의사상과 기복신앙
3. 향가의 문학사적 가치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3.3. 민족문학의 의식 확립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도 향가의 범위에 넣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앞의 25수만을 향가의 범위로 말한다.
순서
목 차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
로 모두 25수가 전하고 있다아 이 밖에 고려 16대 예종이 1120년에 지은 <도이장가>나 정서의 <정과정곡> 정서가 고려 18대 의종 때 지은 <정과정곡>은 고려속요로 전하나 그 형태가 10구체 향가와 흡사하다고 보아 향가의 범위에 넣기도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전시가지도론 - 향가와 삼구육명 - 개관 배경사상 문학사적 가치 형식
현세주의란 내세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4.2. 삼구육명의 해석
제망매가, 원왕생가, 보현십원가, 풍요 등은 서방정토에 왕생하기를 고대하는 내세관이 반영되어 있다아 제망매가는 끝구에서 서방극락에서 다시 누이를 만날 날을 기대하면서 도를 닦겠다고 노래하고 있고, 풍요에서는 人生(life)을 서러움의 고(苦)로 보고 공덕을 닦자고 노래하고 있다아 그리고 원왕생가나 보현십원가 역시 방법은 다르지만 공덕을 닦아 정토에 왕생하기를 고대하고 있다아 이들 모두가 불교적인 내세관에 근거한 노래들이다. 제망매가 제10행에서 도를 닦겠다는 말도 그렇고, 원왕생가의 광덕이 수도한 것, 그리고 왕생을 바라는 신도들에게 항상 보현십원가를 불러 공덕을 닦도록 한 것, 풍요에서 노래되고 있는 공덕 등 이들 모두가 극락왕생을 위한 방식이다. 혜성가나 도솔가처럼 국가적인 단위의 노래일 경우, 현세주의나 기복 사상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아 도천수대비가는 불신에게 소원을 빌어 현실적인 복락을 추구하는 것이다. 초자연적인 존재의 힘에 의탁해서 개인의 현실적인 복락을 추구하는 것이 현세주의이다. 기원론에서의 기능은 원시종합예술이 보여주듯 생활 속에서 직접적인 실용적 기능을 했던 예며, 예술론적 기능이란 예술의 교시적 기능과 쾌락적 기능을 말한다.
3.2. 창작가요문학의 시원
1. 향가의 개관





4.1. 시형의 구분
향가의 기능은 두 층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하나는 기원론적 측면의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예술론적 측면에서의 기능이다. 기복신앙 또한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왕생극락에는 헌신적인 자기희생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국문학에서 향가라는 명칭은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사뇌가’ 또는 ‘도솔가’ 등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