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0:50본문
Download :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hwp
종전(終戰)이 아닌 휴전(休戰)이다. 우리는 왜 이렇게 서로에 대해 적대적인가. 1945년 한반도는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온전히 자주적인 독립이 아니었기 때문에 해방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에 일어난 냉전과 사상의 대립, 국내 정치세력들 간의 갈등은 결국 한반도에서 6·25전쟁이라고 하는 참사를 불러일으켰다. 본 글에서는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과 그에 관련된 사건을 살펴봄으로써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로부터 국민의 사상적 주체성과 규명되지 않은 사건들을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하지만 이 인식이 정말 올바른 인식인가 하는 물음에 대상으로하여는 회의적이다. 그러나 보도연맹은 좌익 전향자가 중심이 되어 만든 조직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좌익 사상범 중심이 아니라 철저하게 정부중심이었고, 적과 우리 편을 구분하고 사실상 좌익세력을 색출하여 섬멸하는 것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분석
.
순서
1. 국민보도연맹
Download :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hwp( 39 )
Ⅱ.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분석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분석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분석
1949년 정부는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 이하 보도연맹)을 결성했다. 특히 공산주의, 반공(反共)을 빼놓고 한국 현대사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공산주의와 반공은 우리에게 엄청난 影響력을 미쳤다. 하지만 우리는 전쟁을 ‘끝낸 것’이 아니라 ‘쉬는 중’이다. 보도연맹이 결성된 1949년 중순은 이승만 정권이 ‘여순사건’의 위기를 반공체제 구축의 기회로 전환시키고 국가보안법 등의 법제적 장치를 구축하여 반이승만 세력에 대한 정치적 공세를 높이고 있을 때였다. 김득중, 앞의 책, p.470
다. 정부의 정치적 정당성이라는 미명 아래 국민들에게는 수많은 피해가 있었고 수많은 목숨들이 사라졌지만 제대로 된 해명이나 사과조차 받지 못한 사건들이 부지기수다. 지배계층을 통해 주장되는 이데올로기는 그들의 정치적 목적과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인식은 해방 이후 여러 사건들을 통해 확립되고 전쟁과 독재기를 겪으면서 고착화되었다.’라는 뜻을 가진다. 하지만 남한에서 반공에 쓰인 공산주의는 사상적 공산주의가 아니라 북한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쓰여 왔고, 반공은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에 반대한다는 의미로 더 통용되었다.
‘보도’라는 말은 공산주의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올바른 길로 이끈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래는 좌익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사상적으로 개조하는데 그 취지를 두었다. 반공의 사전적 의미로는 ‘공산주의에 반대한다. 그것을 각인시켜 주듯이 전쟁 이후에도 북한은 간간히 남한에 대한 무력도발을 행해왔고 그에 대응해 우리도 무력적 방어 태세를 더 강화해 갔다. 그리고 전쟁 이후 남한에서는 반공으로, 북한에서는 반미·반자본주의 등과 같은 말들로 여전히 서로를 적대시하고 있따 분단과 전쟁이라는 현실의 가시적 분단을 넘어 자유주의와 공산주의라는 사상적 분단이 계속해서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그것을 입증하듯이 남한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시대가 흐르면서 변하는 통치자들 마다 이면적으로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과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 있었고 대부분의 국민들이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만들었다.
설명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分析(분석)
해방기 정치적 사건들과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 해방기의 주요 정치적 사건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 分析(분석)
.
.
전쟁이 끝난 지 벌써 60여 년이 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