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increw.kr 실험물리 예비/결과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 cabincrew7 | cabincrew.kr report

실험물리 예비/결과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 cabincrew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bincrew7

실험물리 예비/결과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02:45

본문




Download : exp 09.pdf




이때 는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와 같기 때문에 0.7V로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레포트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가 음의 값이 나오지 않는다. 이를 위해 직류 등가회로는 결합 커패시터(C1,C3)와 바이어스 커패시터(C2)를 모두 제거한다.
얼마만큼 가 커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Excel의 goal(목표) 값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찾아보았더니 4419으로 나왔다.


1.1.2. 교류 해석
교류 등가 회로에서는 세 커패시터를 유효 단락으로 본다. 일단 다이오드 전압 강하가 0.7V가 아니었을 수도 있고 또한 으로 사용했지만 사실 가 0은 아니기 때문에 이다.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0.9V라고 봤다.
예비 보고서 (프리 보고서, 예비 보고서)
1. test(실험) goal(목표)
2. 理論(이론)
3. 재료 및 장비
4. test(실험) 방법 (과정)
5. 참고 문헌

결과 보고서 (결과 보고서)
1. test(실험) 결과 요약 (test(실험) 데이터)
2. analysis(분석) 및 토의
3. 참고 문헌

1.1. 공통 이미터 증폭기
1.1.1. 직류 해석
증폭기 회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류 바이어스 값을 결정해야 한다.

그림 …(투비컨티뉴드 )


실험물리 예비/결과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레포트와 결과레포트를 병합하여 올립니다.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 직류 전원은 접지로 대체해서 이 접지와 연결된다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교류등가회로를 얻는다. ( (*)부분)
옴의 법칙에서 .
을 이용하여 .
최종적으로 .

=0.7V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계산하면 가 보가 크게 되어 버리는 결과가 나왔다.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를 작게 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에 걸리는 전압의 비율이 작아지고 따라서 가 작아져서 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가 커진다.
직류등가회로에서 가 된다
로 계산한다.
전압 분배기의 전압 변동은 무시할 정도이다. 따라서 이론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 , 실험물리 예비/결과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자연과학레포트 ,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공통,이미터,증폭기,공통,컬렉터,증폭기,자연과학,레포트


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 (=66,000 > =4,700 10배 이상이다) 그러므로 전압분배기의 전압 변동을 무시한다.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회로를 얻는다. 따라서 이론(理論)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Download : exp 09.pdf( 32 )


설명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레포트와 결과레포트를 병합하여 올립니다.
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레포트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직류 바이어스에서 커패시터는 개방되기 때문일것이다 그리고 부하저항과 신호원도 제거해야 한다. 기존 회로에서의 값이 4700인 것과 아주 큰 차이는 아니다. 그런데 를 구할 때 보다 더 큰 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값이 실제 보다 크게 계산되었을 것이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이때 =200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계산을 하면 가 음의 값을 갖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림 직류등가회로

베이스에서 직류 입력저항은 이다.
전체 19,22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bincrew.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