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2 09:19
본문
Download : 인장실험.hwp
응력 변형률 선도위에 곡선의 초기 선형부분에 평행한 직선을 그리고 이 때 0.002(0.2%)와 같은 표준변형률 만큼 오프셋 시킨다.
3. 재료의 응력-변형률 선도
1) 콘크리트
그림 2.1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2) 복합재료
Fig. 3 Stress-strain curve of [0/-60/60]s laminate
3) 카본블랙
Fig.7.Stress-strain curves of carbon black/ rubber vulcanizates.
4) 암석
Representative stress-strain curve for rock in uniaxial compressio
4. 재료에 따른 파단면의 차이
1) 연성 파괴
취성파괴 Cup-Cone 파괴 전단파괴 점상파괴
그림. a 인장 시험에 의한 각종 파괴 형태
파단 부위에 현저한 연신과 단면…(drop)
순서
인장실험
인장실험 , 인장실험기계실험결과 , 인장실험
설명
인장실험,기계,실험결과
실험결과/기계
인장실험
Download : 인장실험.hwp( 96 )
다. 선형영역에서 소성영역으로 급하게 변하는 구조용 강의 경우에는 오프셋 응력이 항복응력과 비례한도와 실제적으로 값이 똑같다. 오프셋 선과 응력 변형률 곡선과의 교점을 항복응력으로 definition 한다.





1. experiment(실험)목적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experiment(실험) 시 인장시편의 성질을 생각해보고 파괴된 상태에 대하여 고찰해보자.
2. 0.2% offset method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료가 뚜렷한 항복점을 가지지 않고 비례한도를 지나 큰 변형이 일어날 경우에는 오프셋 방법에 의해 임의의 항복응력을 구한다. 이 응력은 임의의 방법으로 결정되었고, 재료 고유의 성질이 아니므로 이를 오프셋 항복응력이라고 하여 진짜 항복응력과 구분된다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에서는 오프셋 항복응력이 비례한도보다 약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