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쿼터의 유지 및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5 20:58
본문
Download : 스크린쿼터의 유지 및 발전방향.hwp
시대를 달리하면서 조금씩 조항은 변경되었는데, 1985년에는 이 기간이 전체상영일수의 33%였다.
(2) 한국의 스크린쿼터 및 기타 文化 보호정책
한국의 스크린쿼터의 처음 은 1966년 제정된 영화법 조항부터다. 영화진흥법에는 제작업계의 상황에 따라 스크린 쿼터 기간이 20일 감소될 수도 있다는 조항 또한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는 추가로 20일, 즉 총 40일이 감소될 수도 있었다. (1) 소도시인 경우 (2) 주요 공휴일동안 한국영화가 상영될 경우 (3) 전국 티켓판매 전산망에 가입할 경우. 따라서, 146일이라는 스크린 쿼터 기간은 20일이 줄어든 126일, 즉 전체 상영일수의 34.5%로 감소하거나, 총 40일이 줄어든 106일, 즉 29.0%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경영경제
국제무역理論-스크린쿼터202
,경영경제,레포트
국제무역이론-스크린쿼터202 , 스크린쿼터의 유지 및 발전방향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순서
Download : 스크린쿼터의 유지 및 발전방향.hwp( 34 )
다.
스크린쿼터의 유지 및 발전방향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영화 산업과 스크린 쿼터
(1) 스크린쿼터의 정의(定義)
(2) 한국의 스크린쿼터 및 기타 文化 보호 정책
(3) 스크린쿼터가 한국 영화 산업에 미친 influence
3. 스크린쿼터 폐지의 주장과 근거
(1) 한국 영화점유율 확대로 인한 보호정책 폐지 주장
(2) 미국 BIT협정에서의 스크린쿼터 폐지 요구
(3) 경제학이론(理論)을 통한 접근 ‘수량제한의 경제적 效果(효과) analysis(분석) ’
4. 스크린쿼터의 존속 이론(理論)의 타당성
(1) 文化적 예외로서의 인정
(2) 규모의 경제를 이룩하고 있는 할리우드
(3) 영화산업의 특수성
(4) 제작-배급-상영으로 이루어진 영화산업 메커니즘
(5) 스크린쿼터 대체정책의 비효율성
(6) 미국 BIT협정의(定義) problem(문제점)
(7) 스크린쿼터 폐지 시 influence 및 결과
(8) 멕시코 실패事例
(9) 스크린쿼터 축소 시 influence 및 결과
(10) 영화산업의 경제적 가치
5. 외국의 事例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1) 다른 나라의 文化 보호 정책 事例
(2)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6. 맺음말
7. 참고한 문헌
2. 스크린쿼터란 무엇인가
(1) 스크린쿼터의 정의(定義)
스크린쿼터란 일국의 government 가 국산 영화를 보호, 육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영화관의 각 스크린 당 연중
일정기간을 자국영화의 상영에 할애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즉, 영화 상영 시간 할당제를 가리킨다. 제16조와 그 시행법규에 따르면 극장주들은 전체상영일수의 40%, 즉 연간 146일 이상 한국영화를 상영해야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