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의 정이 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4 04:06
본문
Download : 청각장애의 개념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hwp
교육의 시기가 빠를 수록 교육내용의 비중을 감각 훈련에 두어야 한다.
① 실물과 실물
② 실물과 그림
③ 그림과 그림
④ 실물 그림과 구형, 음성
2. 청능 훈련
청능 훈련의 목적은 보청기 및 인공와우 등의 청각 보조장치를 통해 아동의 잔존청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청각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구두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것이다.
다.
1) 청능 훈련의 단계별 내용과 방법
① 음의 인식
음을 듣는 습관을 길러 들려오는 음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든 민감하게 反應(반응)하는 것을 가르친다. 경도 난청, 중등도 난청 및 4~5세가 지나서 난청이 된 경우에는 이러한 태도와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 않으나 난청유유아 및 선천성 내지 유유아기에 청력을 잃어버린 중도의 난청아와 뇌손상 등에 의한 …(투비컨티뉴드 )






청각장애의 정이 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에 관한 중요내용을 깔끔하게 요약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5. 5개음 검사
말소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음소 중에서 대표적인 5개음을 선정하여 이들의 청취능력을 검사함으로써 청각장애 아동의 어음 청취력을 간편하게 진단하는 방법.
Ⅳ. 청각장애아의 언어 지도
1. 감각 훈련
1) 언어지도에 있어서 감각 훈련의 의미와 그 역할
입모양에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과 시각적으로 변별할 수 있는 능력에 도달하기 위한 언어지도 이전의 기초 훈련역할을 한다.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청각장애의 개념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인문사회레포트 ,
Ⅰ. 청각장애의 정의(定義)와 분류
1. Moores(1987)의 정의(定義)와 분류
2. 장애인 교육법(1990)의 정의(定義)
3. 장애인 복지법(1989)의 정의(定義)
4. 언어전 농과 언어후 농
5. 전도성 청력 손실과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
Ⅱ. 청각장애의 原因
1. 외이의 原因
2. 중이의 原因
3. 내이의 原因
4. 청각 중추의 原因
5. 기타의 原因
Ⅲ.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
1. 음차 검사
2. 유아 청력 검사
3. 순음 청력 검사
4. 어음 청력 검사
5. 5개음 검사
Ⅳ. 청각장애아의 언어 지도
1. 감각 훈련
2. 청능 훈련
3. 발성, 발어 지도
4. 문어 지도
5. 독화 지도
6. 수화지도
Ⅴ. program
1. SPICE (Speech Perception Instructional Curriculum And Evaluation)
2. 청각 변별 훈련 program (Auditory Discrimination Training Program)
3. 청각 장애아들의 의사소통 훈련
4. 어음 청력 검사
다양한 주파수의 음이 혼합되어 있는 어음을 이용하여 언어의 청취능력과 이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검사로 단음절, 이음절, 삼음절 또는 그 이상의 음절을 갖는 단어와 문장을 자극음으로 사용한다.설명
Download : 청각장애의 개념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hwp( 82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청각장애의 정이 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인문사회,레포트
청각장애의 개념과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에 관한 중요내용을 깔끔하게 요약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감각을 바르고 선명하게 경험시키고 확실한 개념(槪念)을 가지도록 하면 말의 분화에 efficacy적이다.
• 검사 방법
▶ 검사자 : 녹음된 검사어음이나, 검사자의 육성으로 검사어음을 제시하고, 검사는 잘 들리는 쪽 귀부터 실시한다.
2) 내용
시각과 촉각훈련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짝짓기 활동(matching)으로 처음 된다된다.
▶ 아동 反應(반응) 방법 : 제시되어지는 검사어음을 받아쓰거나, 따라 말하기로 反應(반응)한다.